100억짜리 기획력 - The Planning Power
하우석 지음 / 새로운제안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글쎄 개인적으로는 추전하고 싶지 않은 책이지만, 모든 책이 그렇듯 몇 가지는 건질 것이 있기에
그 중에서 건진 몇 가치를 소개한다.

1. 기획자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강한 의지를 펴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어디까지가 의지고, 어디까지가 고집인가?
    글쎄 나의 답은 '합리'가 있는데까지가 의지...

2. 기획 업무의 상당부분은 설득작업이다?
    맞다. 아주 맞다. 무지 힘든 작업이기도 하다.
    설득을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관계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전문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둘 다 이용하면 좋겠지만, 관계만 이용하는 것은 왠지 사이비 기획자 같지?
    전문성을 이용하는 방법도 몇 가지가 있다.
    HRM 인력관리 책을 한 번 뒤져 보시길.

3. 기획 업무는 아이디어 생성과 실행으로 이뤄진다.
    둘 다 중요하다. 하지만 진짜 기획자는 실행의 중요성을 안다.
    2번의 설득작업 역시 실행의 한 부분일 뿐이다.

4.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무지 약한 부분.
    실행한 후 Feedback하기.
    피드백의 우리말 번역조차 없다. 되먹임?
    우리나라 문화에 꼭 필요한 게 있다면 피드백 문화이다.

5. 좋은 기획 = 정확한 문제 파악 + 적합한 해결 제시
    특히 문제 파악이 정확히 되지 않으면 해답이 산으로 간다.
    문제 파악을 위한 다양한 툴들을 활용하길 권한다.
    로지컬 씽킹 같은 책의 일독이 큰 도움이 될 것.

6. 기획서는 논문이 아니다.
    기획서는 간단하고 쉽고 설득력 있게!

7. 살아있는 기획은 상대의 사고와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다.
    이 때 기획자는 일이 즐거워진다.

8. 기획자는 심리분석가여야 한다.
    설득 대상의 심리를 예리하게 분석해 내야 한다.
    제갈공명은 말로써 상대 심경을 자극해 죽게까지 했다니...

9. 심리분석을 하려면 만나야 한다.
    기획자는 시간의 많은 부분을 사람을 만나 커뮤니케이션하는데 써야 한다.
    기획자는 책상에 앉아 끄적끄적 만들어 내는 사람이 아니다!
    가슴을 콕콕 찌르는구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