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지하철에서 아주 특이한 한 노인을 만나 얘기를 나누었다. 이 노인은 독서광으로 그가 들려주는 책에 얽힌 이야기는 내가 내려야 할 역을 지나치게 할만큼 재미있었다. 다음 날 출근하는 길에 다시 만났고, 그 날 퇴근하는 길에 또 만났다. 그 노인은 자신의 고등학교 때 얘기며, 출판 쪽에 일했던 그의 과거 직장 얘기며, 지금 일하고 있는 독특한 작업실 얘기며, 자신이 책을 빨리 읽는 비법, 그 동안 썼던 책들의 배경 등 자신만의 희한하고 흥미진진한 얘기들을 풀어놓았다. 또 [서평은 이렇게 쓰는거야.]라는 그의 서평론도 이야기 해 주었다. 그 노인이 바로 다치바나 다카시다.

이 책은 건강검진을 받으러 갔다가 대기하던 중 손에 잡힌 한 인테리어 잡지의 끝부분에 있는 [나의 독서 스타일]이라는 코너에서 발견했다. 몇 가지 질문을 통해 자신의 독서 스타일을 알아보는 것이었는데 나의 독서 스타일을 [실용주의자]로 판명났다. 그리고 각 독서 스타일별로 책 한 권씩을 소개하고 있는데 바로 이 책이 [실용주의자]를 위한 책이었다. [실용파]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책을 읽는다. 따라서 전체를 다 읽기 보다는 그 책의 핵심만을 취하면 그것으로 만족이다. 구지 책을 사려고 하지 않고, 예쁜 양장본의 책을 가지고 싶어하는 욕구도 없다. 다만 책 속의 원하는 지식만 얻었으면 그것을 그 책의 가치는 다 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 다카시는 [실용파]의 전형이면서 이 스타일에서는 정통한 전문가이다. 만약 당신의 독서 스타일이 [실용주의]라면 한 번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유용하고 재미있는 부분은 [실전에 필요한 14가지 독서법]과 그의 고양이 작업실이 만들어지기 까지의 과정과 고양이 작업실 내부 삽화, 그리고 여비서를 채용하는 과정, 그만의 속독 비법과 서평론이었다. 그리고 양장본의 빳빳하고 손에 착 안기는 책 커버의 느낌도 좋았다.

특히 지금도 이렇게 서평을 휘갈기고 있는 입장에서 그의 서평론에 눈이 가지 않을 수 없는데. 그는 서평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다. [나는 책을 읽는 독자 입장에서 서평다운 서평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서평다운 서평이란 어떤 책에 대해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주 그럴듯한 평가를 뽐내듯 늘어놓은 글을 말한다. 우리가 서평을 통해 알고 싶은 것은 오로지 그 책이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가에 관한 정보이다. 별 몇 개로 표시하는 것으로써 서평을 대신한다면 그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을 것 같다고까지 생각한 적이 있다.]

만약 당신이 [실용주의] 독서 스타일을 가졌다면, 그리고 독서에 무지 관심이 많다면 이 책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조금 산만하고 너무 개인적인 수필을 보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이것이 나의 [다치바나식] 서평이다. ^^;

시간이 되면 그의 다방면을 책들을 꼭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