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 Society 한경 클래식 3
피터 드러커 지음, 이재규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드러커가 보는 다음 사회의 특징은 크게 세가지로 요약된다.

1. 지식이 자본으로 인식되며 지식근로자(knowledge worker)의 대두

2. 농업이 그랬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의 제조업의 몰락

3. 젊은 인구의 감소로 인한 노인문화가 사회 지배적 문화로 자리잡음

여기서 보이는 우리의 기회는 무엇인가?

아마 이 책을 잡게 되는 목적은 ′다들 읽는 베스트셀러니까′, ′호기심에′, ′변화 속에서기회를 잡기 위해서′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난 세번째 이유에서, 또 그런 관점에서 책을 읽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상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만한 것은

1. 계속교육 사업/노인인력 활용- 우리 나라의 노령화 속도가 선진국보다 빠르다는 사실을 아는가?

2. 인력파견업체와 인력아웃소싱 붐- SK만해도 비정규직 인력의 수가 정규 인력의 수와 거의 같다는 것을 아는가?

3. 중국시장- SK가 가장 큰 기회로 보는 세계시장이 바로 중국이라는 건 누구나 아는 것.

4. 대체불가능한 자신만의 전문지식 보유- 유명 컨설팅firm에 수 억씩 쏟아붇는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의사/변호사들이 돈 잘 버는 이유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