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 1 밀리언셀러 클럽 51
스티븐 킹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스포일러 있습니다)

 

휴대폰을 통해 사람을 좀비처럼 흉폭하게 만드는 바이러스가 퍼지고, 전세계 인간들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당하거나, 바이러스 걸린 사람들에게 당한다는 이야기. 주인공 클레이와 살아남은 몇몇 동료들은 이 좀비처럼 변한 인간들(책에서는 '폰 사이코'라고 표현)에게 대항한다.

이런 줄거리다. 척 보기에도 재밌을 거 같다. 책 시작에서부터 이것저것 배경 설명하고 설정하느라 시간 끌지 않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단도직입적인 점이 마음에 든다.

좋긴 한데... 읽고 나면 페이지가 모자랐는가? 쓰다가 뭔가 급한 일이 있는가? 아님 쓰다보니 수습도 안되고 빨리 끝이나 내자고 생각했을지도?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은 내용에 비해 책이 너무 짧기 때문이다. 스티븐 킹 예전 소설 중에 비슷한 내용의 <스탠드>가 4권인가 5권짜리로 나왔었는데, 이건 달랑 2권이다. 짧은 지면으로 위의 줄거리를 소화하기엔 좀 벅찬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주인공들이 폰 사이코들에게 대항한다고는 해도 사실 별로 하는 일은 없다. 폰 사이코들 모여 있는 운동장에 불 한번 지르고는 내내 그들에게 끌려다니는 형편이다.

게다가 폰 사이코의 리더격인 통칭 '하버드 총장'은 동료 폰 사이코들을 대량 학살한 주인공 일행을 죽이지 않고, 보호까지 해주면서 살려서 캐슈워크까지 오게 하려고 한다. 왜? 나도 모른다-_- 모두가 보는 앞에서 공개처형을 하려고 그랬나보다 짐작은 가지만 정말 그것뿐인지, 그게 왜 그렇게까지 중요한 일인지 아무 설명도 없다. 뜬금없이 등장한 폭탄 한방으로 해결 보고 끝이다. 뭔가  반전이 있을 줄 알았는데 허무할 뿐이다.

차라리 예를 들어 주인공들이 어느 장소에 폰 사이코에게 치명적인 뭔가가 있다는 것을 알고, 거기에 가기 위해 온갖 위험을 겪고 고생을 한 후에 결국은 성공해서 폰 사이코를 말살 또는 일부라도 어쨌든 없애는 데 성공한다 라는 스토리라면 진부하지만 더 좋았을 것 같다.

폰 사이코들은 처음에는 그냥 좀비처럼 아무 생각 없어 보이지만, 점점 진화하면서 텔레파시와 염동력 같은 초능력까지 갖게 된다. 이런 것들이 주인공들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되고 (RPG 게임에서 점점 적들이 강해지는 것처럼) 스릴을 더할 장치가 될 수 있었지만, 오히려 폰 사이코들이 주인공들을 보호해주고 어떻게든 살려서 오게 하려는 형편이다보니 공격도 안 하고, 아무리 적들이 강해져도 긴장이 안 된다. 나중에는 주인공도 별로 피해다니지도 않고 그냥 어슬렁어슬렁 걸어간다. 폰 사이코들이 졸라 강해져서 막 하늘을 날아다녀도 그냥 '와 이제 날아도 다니네?' 하고 넘어가는 수준... 처음엔 그들의 신비한 생태에 대해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흥미진진했지만 갈수록 긴장이 풀어진다는 거다.

또 스티븐 킹 소설의 재미하면 개성이 살아 있는 캐릭터들도 한몫을 하는데, <셀>의 등장인물들은 캐릭터가 약하다. 주인공 클레이는 좀 착한 사람이라는 것 외에 특징이 없고, 있다면 아들 조니에 대한 부성애인데, 도무지 이 부성애에 대해 독자가 공감할 것이 없다. 나중에는 동료도 버리고 혼자서라도 아들을 찾겠다며 가는 형편인데, 읽는 사람은 감흥이 없는 거다. <애완동물 공동묘지>에서는 주인공이 죽은 아들을 살리려고 금기를 저지르는 짓까지 하지만 아들이 얼마나 소중하면 그랬을까 충분히 공감이 갔는데... <셀>에서도 아들에 대한 묘사나 사랑스러운 회상장면이라도 좀 넣어줬으면 덜하지 않았을까.

주인공 외에도 살아남은 동료 중에 제일 먼저 만났고 또 중요한 캐릭터인 듯한 톰 역시 영 희미하다. 고양이를 키우고 깔끔하고 잘 사는 독신남 이라는 피상적인 설정 외에는 별로 캐릭터성이 없다. 중간에 어머니가 광신도여서 신앙에 대해 애증 비슷한 것을 드러내는 장면이 몇부분 나오는데 그러고 끝이고, 그냥 사족같이 느껴진다. 마지막엔 조든을 아들처럼 여기며 둘이 의지하고 산다는 설정인 것 같으나 이것도 뜬금없이 여겨지고...

나중에 만나게 되는 동료들인 데니즈, 레이, 데니얼은 그야말로 누가 누군지도 모르겠고 왜 나왔는지도 모르겠음.

그나마 앨리스나 조든, 교장선생님은 정이 간다. 차라리 이 셋에 클레이, 톰 해서 5명이 계속 파티(?)로 갔으면 균형도 맞고 좋았을 것 같은데...

여하튼 단점만 잔뜩 썼는데, 재밌기는 확실히 재미있다. 하지만 그냥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볼 수 있는 그 정도 재미이고 그 이상은 얻을 수 없을 만큼만 재미있다. 스티븐 킹이라면 더 잘할 수 있었다. 그래서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