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박상진 지음 / 김영사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어떤 책들은 읽어도 읽은 뒤 별로 남는 것도 없고, 감흥도 크지 않은 책이 있다. 또 어떤 책은 읽고 난 뒤 여러 가지 책속의 귀한 알맹이들을 전수받은 느낌이 나기도 한다. 바로 <역사가 새겨진 나무이야기>가 후자의 책이라 생각한다.


 나무관련 책들을 즐겨 읽는 편인데 식물 관련 또 하나의 멋진 과학자겸 작가가 탄생 했다는 생각이 든다. 촘촘히 짜여진 내용 구성이며 충분한 과학적 바탕과 작가의 경험이 어우러져 읽는 독자로 하여금 많은 배울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총 3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원에 충실한 내용과 과학적 사실을 접목하고 있어 끝 장을 덮는 순간 아.. 뭔가 배웠구나 하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시작 단원은 앞으로 전개될 나무와 문화재의 연관을 이해하게 해주는 개략적 나무의 속성에 대해 시원스런 개념을 잡아주고 뒤이어 나오는 단원들로 목재조직학을 공부하는 나무학자의 훌륭한 이론들을 재밌고 간결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도중에 어려운 과학적 항목들은 그림 설명으로 이해를 도왔으며, 다양한 고증 사진들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쉽게 나무과학을 접할 수 있게 해준다. 그 만큼 치밀하게 책이 만들어 졌음을 알게 해준다. 때문에 목재조직학이란 생소한 분야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전혀 다른 곳의 지식을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구조적 장점 말고 내용적 장점으로는 다루고 있는 팔만대장경과 거북선, 숯, 보물섬, 계수나무.. 등 다양한 문화재를 나무학자의 입장에서 현미경적으로 전혀 다르게 조명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읽고 있는 내내 추리소설에 버금가는 긴박감으로 책을 접하게 해준다. 과학을 다루는 책이 이렇게도 흥미진진하다니 놀랍기만 하다. 다루고 있는 주제가 대중적이고 궁금 해하던 내용이라서 더 재밌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오랜만에 과학문화의 재밌고 좋은 책을 만나서 기분이 좋다.


ps. 참고하자면 이 책은 과학의 대중화를 위하여 과학문화재단에서 기획했으며 저술지원을  

     받았다고 한다. 그 만큼 검증이 된 책이라 생각한다. 때문에 청소년이나 대학생, 자연과학에

     관심 있는 많은 사람에게, 친숙하게 자연과학을 다가가게 해 줄 수 있을 듯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4-05-20 15:1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