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자들
한상복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베스트셀러인 이유가 있다. 읽으면서 쉽게 내용들이 다가왔고 깔끔하게 읽었다는 기분이 들었다. 읽기도 편했고 부자들의 일화들을 기억에 잘 새기게 해주는 책이다.

요즘엔 참으로 부자가 되고픈 사람이 많은가보다. 부자에 대해 다룬 책은 잘 만들어지기만 하면 인기가 높다. 사회가 어려워지고 힘들어 질수록 부자를 갈망하는 심리가 높아서인지는 아닐지 모르겠다. 부자라 하면 재벌기업가 정도로 크게 바라봤는데 책을 읽어보면 실속? 있는 알부자들이 곳곳에 포진하고 있음에 놀라게 된다. 하긴 도로변에 즐비한 상가건물들마다 주인이 있을 테고 그 수만 따져 봐도 부자 또한 적은 수는 아니긴 하다.

책이 쉽게 다가오는 이유는 아마도 책을 읽는 동안 나도 한 번 도전해볼까? 하는 생각을 쉽게 갖게 해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부동산과 주식투자로 부를 창출한 내용들을 계속해서 읽다보면 솔깃해지기 때문이다. 성실하고 노력하고 인맥을 활용하고 적절히 투자시기를 잡는다면 부를 얻기란 그리 어렵지 않게만 느끼게 해준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월급쟁이로 남으며 내 집 마련의 꿈을 키워가며 살아가는 모습들이 책을 읽다보면 부정적으로 바라봐 지는 것은 왠지 기분이 좋지 않다. 오르는 부동산에 적절히 투자하면 왠만한 봉급생활자들의 1, 2년치 연봉은 손쉽게 벌 수 있다고 나오기에 약간은 허탈하기도 하다.

부가 전부일까? 우리 사회는 무엇이든 돈으로 연관되어 지는 것 같다. 돈이 있어야 문화를 누릴 수 있고 건강도 유지할 수 있고 그럴수록 뭔가 중요한 것들은 잃는다는 느낌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못사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기에 기본적인 부가 필요한 건 아닌지 모르겠다. 아무쪼록 책을 읽고 착하고 정직하고 사회에 빛이 되는 부자들이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