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3세 이재용 - 그의 출발선은 왜 우리와 다른가
곽노현 외 지음 / 오마이뉴스 / 2001년 4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정몽헌 회장의 장례식에 삼성의 이건희 회장을 대표해서 이재용이라는 사람이 식장에 방문했던 일이 TV에 비춰진 일이 있었다. 많은 기업인 중의 하나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TV에서 주목해 조명되어지고 있기에 약간은 신기하게 바라보고 스쳐지나갔던 기억이 난다.

삼성 3세 이재용의 경영능력에 대해 쓴 책인 줄 알았는데 읽다보니 차츰 전혀 다른 성격의 책임에 놀랐다. 많이 생각해 보지 않은 부의 세습과 재벌 세습에 대해 이재용을 중심으로 다방면에 걸쳐 비판하고 있는 책이었다. 물론 많은 기업에서 그들의 아들들에게 기업을 물려주고 있지만 유독 삼성 3세에게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그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고 파급효과가 큰 기업이기 때문에 그러리라 생각된다.

오마이뉴스에 기사화 된 내용들을 책으로 담았기에 흥미진진했고(오마이뉴스 기사는 흥미진진하다.) 이재용이라는 삼성 3세가 재벌 세습을 위한 여러 가지 순차를 밟아오다 이제는 덜컥 덜미를 잡혀버린 회계상의 문제, 도덕상의 문제들을 자세하게 조명해 주고 있다.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이재용과 같은 해 하루차이나는 생일을 가진 은행원 이재용이라는 평범한 일상의 인물을 비교 인터뷰하면서 과연 삼성 3세 이재용이 삼성가에 태어나지 않았다면 지금의 부를 만들 수나 있었을까를 알기 쉽게 비교해 두었다.

2년 전에 출판된 책이긴 하지만 사회가 이제는 여러 분야에 문제제기를 하는 모습은 보기 좋다. 비록 소수의 시민단체에서 반격을 하는 일이긴 하지만 파급되어 나타나는 효과는 점진적으로 커지고 있기에 사회견제와 건전한 비판세력으로 힘이 모아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책 안에서는 삼성주주총회에서 참여연대가 소액주주의 입장에서 삼성에 반격을 가하는 내용은 인상적이었다. 개인적으로는 다수가 우루루 가는 상황에서 소신을 갖고 충분한 판단과 연구를 통해 일침을 가하는 내용은 사회에서 어떡게 처신해야 하는지 배워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일전에 교회세습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명성과 능력으로 거대 교회로 성장시킨 목사들의 후임자로 목사 아들들이 여러 거대교회의 후계자로 임명되는 일이 있어 사회적으로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었는데 기업세습도 어떤 맥락에서는 교회세습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환경과 배경이 주는 장점으로 인해 쉽고 빠르게 기득권을 장악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밑에서부터 겪어나가는 경험은 부족하리라 싶다.

소심한 생각이지만 재벌 아들들과 상류층에 속하는 이들은 우리와 다른 이라는 생각이 든다. 출생배경부터 다르기에 그들이 사는 방식을 견제한다는 것도.. 물론 주목받는 사람들이기에 도덕성과 합법성이 기본이 되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