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 인류 최대의 적
앤드루 스필먼 외 지음, 이동규 옮김 / 해바라기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모기라는 별명을 가진 사람이 무척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이름 중에 '목'자가 들어가면 어김없이 모기라는 별명을 붙이고, 입이 조금이라도 삐죽하게 나왔으면 역시나 모기로 통했다. 그만큼 모기라는 생물이 인간생활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는 뜻일 수도 있겠다.

이 책은 모기에 관한 방대한 내용이 담긴 책이다. 모기의 출생에서부터 번식, 모기의 종류, 모기가 옮기는 질병, 모기가 서식하는 곳.. 등 다양한 모기의 이야기들이 가득 들어 있는 책이다. 또한 이 책의 갈피는 모기에 중점을 둔 보건위생 분야라 해야 맞을 듯 싶다. 모기가 인간에게 미치는 질병 적인 입장을 분석하며 인간역사에서 모기로 인한 피해상황도 나열하면서 모기가 전하는 질병의 갈래를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때문에 대체적인 책의 내용이 모기가 전하는 전염병에 중심을 두고 각 국의 모기 퇴치방법과 앞으로의 모기박멸 방안 등을 담고 있다. 그래서인지 보건위생부분만 치중했기에 모기가 생태계에 있어 장점을 주는 부분은 알 수 없었다. 세상에 필요하지 않은 생물은 없는데 말이다.

인상적인 내용은 자동차 폐타이어가 모기의 서식반경을 넓혀주었다는 부분이다.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수입된 폐타이어 속에는 오래된 물이 차게 마련이고 그 안에는 모기유충들이 바글바글 했다는 것이다. 안정되고 고립된 곳을 좋아하는 모기다 보니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서식처가 타이어로 모기들에게 찍힌 것이다. 다시 수집된 폐타이어는 재생되어서 세계로 떠돌게 된다. 적응력 강한 모기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장면이다.

모기를 소재로 해서 보건위생도 강조했기에, 책을 읽으면서 전염병과 질병에 대한 경각심도 이해할 수 있었고 질병의 근원을 찾아보는 역학조사 방법들도 흥미롭게 읽었다. 끈질긴 생명력으로 조금의 물웅덩이라도 보면 북적북적 번식할 모기를 생각하니 아찔하다. 여름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는데 '모기'라는 책을 읽었기에 앞으로 올 여름 밤 잠자리가 더 쉽지만은 않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