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도 강렬하고 표지역시 황금빛을 내는 펜촉이 돋보여 읽게 됐다. 때문에 글쓰기에 대한 많은 것을 기대하고 봐서 그런지 약간 기대에 못미치는 책이다. 스티븐 킹은 책에서 이력서부분을 통해 앞으로 작가가 될 사람의 유년시절이 이쯤은 되어야 한다고 넌지시 제시해 준다. 스티븐 킹의 유년시절의 단편적인 기억들의 특징은 기억단편들이 무척이나 세밀하고 자세했으며 독특하고 유머스러한 생활로 강조되어 있다. 유년시절의 기억들이 한 사람의 인생에서 많은 영향을 주는건 확실하니까 어린시절의 행동이 훌륭한 작가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주었다는 부분에 공감이 간다.
스티븐 킹은 작가는 타고나는 것이지만 누구나 자질을 어느정도 가지고 있으며 그 재능을 얼마나 갈고 닦느냐에 따라 발전하는 작가가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고 한다. 때문에 이 책에서는 글쓰기의 기본이 되는 문법, 어휘의 배열같은 기본적인 토대를 알려주면서 기본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본기를 갈고 닦으며 모방과 창조를 거듭하라는 소리다.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흥미를 갖는 것이다. 제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흥미가 없다면 자신이 하는 분야에서 연습도 없을 것이며 노력도 더디게 되어 결국 목표에 못 미친다는 소리다. 자질, 기본기에 대한 충실한 연습과 노력, 흥미.. 스티븐 킹은 유혹하는 글쓰기의 준비라고 강조해 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독다작역시 강조한다. 많은 책을 읽어보고 어휘력도 높이고 문법도 제대로 익히고 수많은 생각들을 경험해보고 많이 써보는 것 역시 훌륭한 글쓰기의 기본이라고 강조한다.
스티븐 킹의 유년시절의 독특성을 경험해봤다는 점에서 인상깊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창작론이었기에 번역상에서 독특한 표현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웠고 미국소설을 인용했기에 한국인에게는 거리감이 느껴졌다. 그럼에도 글쓰기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이 책을 통해 글쓰기의 기본적인 토대들인 문법과 어휘력에 관한 부분들. 대화법을 구성하는 법, 그외 작가가 되는데 필요한 준비요소들을 배울 수 있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