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봐서는 다치바나란 사람이 읽은 좋은 책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 줄 알았다. 일본인이 쓴 책이다 보니 한국에서 구할 수 없는 책이 많고 또한 제목도 일본어라 책소개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구성했다고 한다. 때문에 책 초반부를 읽을 때는 책을 쓴 목적이 감이 안 와 약간 어리둥절하면서 갈피를 찾으려 노력했다. 이 책은 엄청난 책을 읽어제낀 다치바나란 인물의 책과 관련된 여러 일화들을 관찰하면서 다치바나 인물탐구를 한 책이기도 하다. 단순히 많은 책을 읽어서 유명하기보다는 어떤 가치관이 특별해서 유명한 듯 싶다. 많은 집필활동을 하는 다치바나는 인터뷰를 하거나 책을 쓸 때 3-4m는 기본으로 관련서적을 읽는다고 하니 열정과 성실성을 어느정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독서를 뒷받침하는 기본 토대는 알고 싶은 열정이라는 것 또한 인상깊다. 때문에 알고 싶은 지적호기심이기도 하고 인터뷰를 당할 사람에 대한 기본 예의이기도 해서 많은 양의 독서를 하고 다방면에 걸친 분야를 섭렵할 수 있었다고 한다. 뇌, 공산당, 철학, 생명과학, 정치, 우주, 초자연적 신비.. 대학에서 배우는 지식은 극히 일부라 졸업하고도 계속 대학공부를 하려면 독서만한 것이 없다는 부분도 인상깊다.

이 책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면 약간의 엽기가 가미되어 있다는 것이다. 나의 비서 공모기라는 부분은 꽤 재밌었다. 비서업무를 위해 서류심사를 하고 면접을 하고 시험을 보는 과정이 재미도 있었고 지원자들을 통해 다치바나는 그들의 배경지식의 균형 잡힘을 테스트하는 부분역시 독서에 토대를 두고 있어 독서의 중요성도 간접적으로 내비치고 있다. 엽기적인 부분의 하이라이트는 고양이 빌딩이다.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은 책 흐름에서 고양이 빌딩이 갑자기 나와 꽤 웃었다. 뭔가 특이한 사람이긴 하다. 고양이 빌딩 내부의 공간 모습에서 다치바나란 인물이 어떤곳에서 일하는지 짐작해 볼 수 있었다. 독서 방법과 다치바나, 고양이 빌딩의 정체를 알아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