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산어보를 찾아서 1 - 200년 전의 박물학자 정약전
이태원 지음, 박선민 그림 / 청어람미디어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학 관련 서적을 계속 찾아서 보고 있는 중에 '현산어보를 찾아서' 라는 책이 동아일보 책소개 란에 소개된 적이 있어 읽게 되었다. 현직 생물선생님이 많은 자료 수집과 고증을 통해 '현산어보'의 배경이 되었던 흑산도를 둘러보고 그곳의 어민들과 자신의 경험들을 통해 흑산도 주변의 생물들을 관찰하면서 현산어보를 썼던 정약전의 입장에서 현산어보를 고증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책의 특징이라면 조상들 중에서도 자연과학분야에 관심을 갖고 실사구시를 실천한 사람이 있다는 걸 강조하고 후세들도 자부심을 갖고 자연과학 분야에 흥미를 가지라는 점이다. 책을 읽으면서 나역시 흑산도라는 유배지에서 바다생물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현대의 어류도감과 비교해서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그때의 정약전의 현산어보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 정약전이 활동할 때는 중국문화를 최고로 치겠지.. 하는 생각도 있었고 상업과 과학을 천시하는 당시 흐름도 있어 이런 분야의 책이 있었는지도 몰랐다. 다행히 이태원이라는 생물선생님을 통해 세상에 다시 알려지고 정약전이라는 사람이 있었구나 하는걸 알았다는 것만으로도 큰 수확이겠다.

읽으면서 인상깊었던 점은 책안의 삽화와 디지틀카메라로 찍은 화보들이 많이 나와 바다생물들을 이해하는데 쉬웠고 동물분류학 시간에 실험했던 성게니 불가사리니 말미잘이니 참게니 하는 것들이 나와 더 흥미있게 읽었다. 또한 작가의 우리나라 과거에 대한 실사구시에 대한 안타까움도 볼 수 있었고 자연과학분야에 대한 작가의 기대하는 바도 엿 볼 수 있었다. 1, 2, 3 권 합해 1200페이지가 넘다 보니 바다생물 내용뿐 아니라 작가의 정약전에 대한 느낌과 생각 흑산도에 머무르면서 생각했던 내용들을 수필 형식으로 풀어낸 점도 재밌었다.

현재 생물관련 서적은 번역본 일색이고 어류의 이름 또한 외국명이 대부분이라 아쉬웠는데 이책에는 우리 어류들의 지역별 이름을 알 수 있었고 속담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는 부분 역시 훌륭했다. 예를 들면 '밴댕이 속알딱지'라는 속담을 통해 왜 이런 속담이 도출 됐는지 직접 밴댕이를 관찰해 보고 지역 어민들의 이야기들도 들어보면서 속담을 풀어가는 내용 역시 흥미 있었다. 책을 통해서 많은 바다생물의 이름과 특징들을 알 수 있었고 상당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아쉬운 점은 이태원이라는 작가가 우리나라의 과거사를 너무 좋게 미화하지는 않았는지 아쉬움이 남는다. 정약전이라는 훌륭한 학자가 있었던 것도 분명하지만 아쉬운건 그가 이룬 학문이 후대에 제대로 전해지지 않은 전통역시 우리나라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서양 같은 경우는 선대의 경험과 학문이 쌓이고 쌓여 새로운 학문을 발견해 내는 모습을 갖고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개인에 그쳤다는 점이 안타깝다.

바다생물에 흥미 있는 사람이나 과거 역사를 알고 싶은 사람, 생물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현산어보를 찾아서 라는 책을 통해 조금은 우리 나라 바다생물들과 가까워지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서평을 마친다.ps.책을 읽는 동안 지하철에서 내려 집에오는 길에 시장이 있는데 그 곳 생선가게에 잠시 서서 저건 무슨 생선 이건 무슨 생선 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