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지음 / 창비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회과학분야에 지식도 부족하고 관심도 있어 박노자교수의 책에 이어 홍세화님의 책도 읽었다. 사회과학분야 책을 읽고 있노라면 당장 서울역이나 명동성당에 나가 노동자와 시민단체들과 함께 기치를 높이며 시위를 벌여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곤 한다. 책 읽는 동안 나역시 비정규직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지라 많은 부분 더 재밌게 읽었다.
이책은 박노자가 유럽에서 겪은 이야기와 사회복지 면에서는 비슷한 동경을 보내고 있다. 홍세화씨는 민주화운동에 앞장서다 여러 극우로 대표되는 사회에 밀려 프랑스에 있다가 망명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많은 고뇌를 겪고 결국 옛 친구가 하던 택시운전을 택하게 되고 파리에서 단 한명뿐인 꼬레(corea)택시기사가 된다. 택시기사를 하면서 느낀 파리의 모습과 파리가 간직한 배울점인 '똘레랑스'를 강조하고 대한민국 사회가 간직하지 못한 여러 아쉬운 점들을 빠리와 비교해 가며 아쉬움을 전하고 있다. 이책은 5년전인가 인쇄돼서 책 읽는 동안 지금 홍세화씨는 어디서 어떻게 생활하는지 조금 궁금하기도 했었는데 여기 저기 사회적인 모임에서 강연도 하시고 글도 쓰시는 모습을 얼핏 TV를 통해 본 것도 같다. 앞으로 계속해서 우리사회를 위해 좋은 위치에서 사회견제를 해 주셨음 한다.
ps.똘레랑스(Tolerance):다른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자유 및 다른 사람의 정치적, 종교적 의견의 자유에 대한 존중. 관용. 과학용어로는 오차라는 뜻도 있음.(출처:네이버 지식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