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젊은 날의 숲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1월
평점 :
지난밤 가졌던 술자리의 숙취를 이겨내 보려고 밖으로 나가 담배를 문다. 친구들과 젊음을 어떻게 보낼까 논쟁하다 필름이 끊긴 듯 하다. 아픈 머리를 식히기 위해 저기 멀리 심어진 나무들을 본다. 아니 나무들이 보인다. 그 숲을 보고 있노라니 귓가에 쟁쟁쟁 소리가 들리는 것만 같다. 그러나 그 소리는 내 젊은 날의 숲에서 나는 소리는 아니다. 나의 숲에서는 어떤 소리가 날까.
2007년 여름, 나는 스페인에 있는 산티아고를 향해 걷고 있었다. 저 옛날 파울로 코엘뇨가 울면서 걸었다는 그 길 위에서 나는 몇 개의 숲을 지났다. 그 숲에서, 이국의 모기들의 앵앵거림과 얼굴에 계속해서 걸리는 거미줄의 틈바구니 속에서 나는 두려움을 느꼈다. 그 두려움은 단순히 목적지를 향해 가는 길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사실 외에도 젊은 날의 인생을 어떻게 살지 확신하지 못하는 데서 나오는 무력감이기도 했다.
김훈에게 있어 글쓰기는 밥벌이의 수단일 뿐이다. 밥벌이는 거시적이기보다는 미시적이다. 그래서인지 그의 소설은 사회성을 배제하고 인물에만 천착하는 듯이 보인다. ‘불의를 비판하지 않으면 지식인일 수 없고, 불의에 저항하지 않으면 작가일 수 없다’는 노신(그 외 여러 현인들의 명언을 인용하며)의 말을 서두에 붙이며 비장하게 신작을 낸 조정래와는 상당히 대비되어 보인다. 로쟈의 말을 빌리자면 이는 작가의 허무주의로부터 나오는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물에의 강조는 쿤데라의 소설 속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쿤데라의 소설 속 인물들은 생에 있어서의 무능력하고 나약함을 사건들의 메타포에의 집착으로서 드러낸다. 나는 김훈이 자신의 소설 속 인물들을 그려내는 방식에서 쿤데라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주체성의 의미를 축소시킨 다는 느낌을 받곤 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와 쿤데라)가 다루는 인물들은 사회가 낳은 존재이다. 임진왜란이라는 절체절명의 상황, 그리고 중상모략이 판치던 당대의 정치판에서 치열하게 생존과 승리를 모색하는 이순신이라는 인물의 탄생은 얼마나 자연스러운가. 물론 그 인물에 집중하게 만드는 것은 전적으로 그의 강렬하고 아름다운 문장이지만.
신작 ‘내 젊은 날의 숲’에서도 그의 문장은 여전히 함축적이고 아름답다. 그럼에도 전작에서와 같이 쉬이 읽혀 내 마음에 쟁쟁쟁 소리를 내지는 못한다. 그것은 이 작품의 조연주에게서 ‘나’의 과거를 읽었기 때문일 것이다.
조연주가 안요한과 그의 아들에게서 느낀 결핍은 기실 현대인이라면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결핍, 그 관계의 결핍은 그녀에게 부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대인에게 관계는 안식보다는 삶을 지치게 만들기도 하기에. 그녀의 삶의 테두리 내에 지겹게 얽혀있는 좆내논, 그녀의 아버지, 그리고 그 아버지의 아버지는 비루함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축 늘어진 몸의 마지막 자존심으로 생식기를 내세우거나, 아편중독환자이면서 자신이 모시던 독립운동가의 기일에 술을 마시며 울부짖고, 상사에게 충성을 다하여 식솔들을 먹여 살리면서도 정작 가족 앞에서는 '옆구리로만 숨을 쉬어야 하는‘ 모습은 그저 비루하다.
그녀가 아버지를 서어나무에 비유하고 안요한에게서 어느 정도의 매력을 느끼는 것은 이러한 비루함의 연속을 끊고 싶은 내면의 표현일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천국은 ‘사람이 여자의 자궁 속에 점지되어 탯줄로 연결되거나 사람끼리 몸을 섞어서 사람을 빚고 또 낳는 인연이 소멸된 자리’로 상상된다.
참으로 지독하다.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모습의 비루함이란, 그리고 그 비루함은 인연(因緣)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사실이 슬프다. 가장으로서 밥벌이의 소중함과 지겨움을 이야기하는 김훈에게 어찌 보면 인연이란 그렇게 지독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럼에도 김훈은 희망을 말한다. 미루고 미루다가 신우에게 미술을 가르치게 되고, 김중위의 현재를 그리며 수목원을 떠나는 조연주의 모습은 관계의 희망을 말하는 듯하다. 이전에 가졌던 비루한 관계는 뒤에 놓아두고 새로운 친숙함을 쌓아가길 바라는, 이 희망은 ‘여생의 시간들이, 사랑과 희망이 말하여지는 날들이기를’ 갈구하는 겁 많은 작가의 바람일 것이다.
소설을 읽는 내내 조연주에게 동화되어 갔다. 인간관계로 인해 절망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던 모습이 떠올라서이다. 그러나 그 늪에서 빠져나왔을 때 나는 희망을 보았고, 그리고 느꼈다. 어느 누구도 보증해주지 못하는 삶 속에서 믿을 수 있는 것은 단 하나, 인간에 대한 사랑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김훈의 이번 소설이 그동안의 작품들 중에서 읽는 속도가 가장 늦었음에도 가장 공감하는 이유다.
나의 인생, 여전히 길은 보이지 않는다. 고민은 계속된다. 삶의 방식을 논하기에 나는 너무나 젊다. 쟁쟁쟁은 김훈이 세상을 눈이 뚫어져라 쳐다보며 들은 소리, 나는 인생이란 숲을 뚫어지게 보았을 때 어떤 소리를 들을 것인가. 눈이 뚫어져라 삶에 집중한다면 희미하게나마 들을 수 있을까. 아니 들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