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다음은, 네 멋대로 살아가라
김재순 지음, 황주리 그림 / 샘터사 / 2006년 8월
장바구니담기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 젊음이 귀중한 것이라 했건만, 그들이 자기의 자원인 젊음의 시간을 허송하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다. 자신을 낭비해버리는 사람과 '어떻게든 살아가야지, 살 길을 찾아야지'하고 분발하여 공부하고 땀 흘리며살아가는 이와의 차이는 5년, 10년이 지나노라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커질 것이 분명하다. -47쪽

그녀(유미리)의 글 들 속에서 우리는 자신의 어두운 삶을 온전히 공개하고 그것을 긍정하려는 뜨거운 삶의 투지를 엿보게 됩니다.-53쪽

D.I.Y => Do It Yourself! 정신
너의 일은 너 자신이 하라. 남에게 기대지 말라. 남을 시기하지 말라는 대처가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철두철미한 자립정신입니다.
-57쪽

가장 중요한 것은 오늘 저녁의 역사를 만드는 것이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프레셔'와 스트레스를 이겨내야 한다. (마이클 존슨 : 200/400m금메달)

중압을 이겨내는 비밀은? 즐기는 것이지요 ^^ (14세 수영선수 : 100m 평영금메달)

나의 목적은 처음부터 끝까지 참가하는데 있었다. (아프가니스탄 선수 : 마라톤)-60~61쪽

지난 일을 바르게 아는 일 - 그것은 조국의 내일을 걸머질 청년 학도들의 첫째가는 책임이다.-64쪽

'인간이란 교육받아야 할 유일한 피조물'이며 '어린이는 인격과 지능이 성장 도상에 있어 올바른 지도를 필요로 하는 존재'이다. '먼저 노력의 필요성과 방법을 가르쳐 배워야 할 것은 배우게 하고 그 기초위에 다양성, 개성의 꽃을 피우게 해야 한다'

이는 동서양의 변함없는 교육철학이다.-115쪽

우리 선조들의 짧은 인생 - 심보르스카

...(중략)...
기쁨이 있더라도
이면에는 불안이 있고,

절망 속에서도
항상 조용한 희망은 있는 것이다.

삶은 길다고 하더라도
항상 짧은 것이다.
새로이 무엇인가 하기에는 너무 짧은 것이다.
-117쪽

혹 '나를 만나서'
그 용도가 형편없이 낮아지거나 엉뚱한 길을 가게 된 물건은 없는지요?-118쪽

칸트의 철학

나는 무엇을 알 수가 있는가.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나는 무엇을 소망해야 하는가.
인간이란 무엇인가.-161쪽

잠들기 전 오늘 만났던 그 사람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그 사람이 향기로 남아 있습니까? 편린으로 남아 있습니까?
바람처럼 스쳐가는 말이었습니까? 간직하고 싶은 복된 말이었습니까?
그 사람의 작은 버릇을 기억할 수 있습니까? 도둑맞은 시간이었습니까?
그 사람의 작은 버릇을 기억할 수 있습니까?
그 사람을 만나고 나니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은 예감이 듭니까?
어두운 일이 있을 것 같은 예감이 듭니까?-174-175쪽

* 자기 혁명 *

시간을 잘 지키지 않는다.
거짓말을 하고도 죄의식을 가지지 않는다.
공과 사를 잘 구별하지 못한다.
강자에 약하고 약자에 강하다.
체면치레에 너무 많이 낭비한다.-186쪽

소망에 비례하여 고뇌도 크다...!-201쪽

신이 우리에게 절망을 보내오는 것은 우리를 죽이려고 해서가 아니라
우리속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서입니다..-209쪽

- 고시바 마사토시 박사 -

지금까지 자신이 알지 못했던 것을 알게 되었을 때처럼 기쁜 때는 없었습니다.

무엇에든 재미를 붙여보세요. 재미있다는 것이 모든 일의 원동력입니다.

일류 인물과 이류 인물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일 큰 차이는 겸허입니다. 겸허한 사람은 자기가 알고 있는 한계를 알고 있는 사람입니다. 흔히 머리가 좋다고 자부하는 사람일수록 그 한계를 모르는 이가 많습니다. 결국 이류 인물로 끝나게 되지요.

나는 도쿄대학을 거의 꼴찌로 졸업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것이 나에게 좋았던 것 같아요. 내가 다른 동료보다 머리가 좋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모르는 것이 있으면 서슴지 않고 그 방면의 전문가에게 배우려 했지요.

뭔가 재밌어서 하는 정신,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겸손이 무슨 일에나 대성할 수 있는 원동력이라는 것을 상기하면서.....^^

" 학업 성적이란 배운 것을 이해하는 수동적인 인식을 말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동적인 인식입니다. "-211~212쪽

행복을 만들어 가는 데는 여러 단계가 있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단계..
해보는 단계..
트레이닝 단계..
행복이 깊어갈수록 고통이 따른다.

진정한 행복은 안이한 방법으로는 얻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행복은 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가야 한다.-231쪽

젊음은 행복이다..!

시행착오를 거듭해가는 가운데
계획이 구체화되고 미처 생각지도 않았던 전망이 열릴 수가 있습니다.-25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