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봄날의 소품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나쓰메 소세키의 세계에 관하여, 비하인드 스토리,





『긴 봄날의 소품』





중단편 2편과 신문에 게재된 수필들을 모아서 나쓰메 소세키 사후 100년 기념으로 출간된 책.




나쓰메 소세키의 유명한 여러 대표작 중에 내가 가장 먼저 접한 책은 『도련님』이다. 무심코 집어 들었다가 손을 놓지 못하고, 흥미진진하게 읽은 책 중 하나이다. 생각보다 재밌었고, 다음이 궁금해서 계속해서 읽을 수밖에 없는, 입심이 담긴 문장이 탄탄했고, 담백했고, 이야기가 뻗어나가는 과정이 유쾌했다. 


작가는 늦은 나이에 작가로 데뷔하여 짧은 창작 기간 동안 많은 작품을 남겼다고 한다. 그중 또 찾아보고픈 책은『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그 후』이다. 사실 여유가 주어진다면 한 편씩 다 읽어보고 싶다.


이번에 읽게 된『긴 봄날의 소품』은 작가의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 거쳐가야 할 길과 같은 책인 듯 하다. 작품 세계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중·단편을 대작들에 도달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했다고 하니 더욱 그러하다.



**



<이백십일>은 친구와 티격태격하며 궂은 날씨에 아소산을 오르기 위한 과정을 그렸다. 점심을 우동으로 먹는 것에서부터 아웅다웅 하기도 하고, 그 시대 특유의 유머를 보여주는 듯한 반숙 이야기와 더불어 사사로운 내기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결국 위험에 처했을 때 서로의 안전을 위해 간절히 돕기 바쁜, 로쿠씨와 게이씨의 우정이 담긴 이야기는 소세키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쓰인 중편소설이다. 친한 사이라서 아무말대잔치가 열린 듯한 느낌도 있었다. 시대와 상관없이 허울 없는 사이란 이런 게 아닐까 싶다. 


<열흘 밤의 꿈>은 1908년 아사히 신문에 연재된 소설이다. 정말 꿈 이야기를 옮겨 적은 듯한 기괴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로 가득하다. 각각의 꿈속, 어느 시점에서 갑자기 시작되는데 이는 정말 꿈처럼 느껴졌다. 

실제로 꿈에서는 개연성이 존재치 않는다. 갑자기 어디론가 이동하기도 하고, 쫓기기도 하고 누굴 기다리거나 만나기도 한다. 열 가지 꿈 속엔 죽음을 기다리기도 하고, '무'에 대한 깨달음이나 죄의 무거움을 은유하기도 하며, 원망과 후회, 생과 사가 오가기도 한다. 슬프거나 엉뚱하거나 맥락이 없거나, 어느 불상을 만드는 장인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단순한 상상력이 아니라, 정말 이러저러한 해괴한 꿈을 꾼 것을 바탕으로 한 기록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제목과 딱 맞는 꿈 이야기를 흥미롭게 읽을 수 가 있었다.


<긴 봄날의 소품>은 1909년도에 아사히 신문에 게재된 수필들을 한데 모은 것이다. 말 그대로 나른한 봄날의 일상, 그 소소함을 이야기하기도 하며, 런던 유학시절 에피소드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도둑이 든 이야기, 고양이 묘표를 세우고 나서야 바뀐 가족들의 태도라든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이야기들이나 셰익스피어 연구자 윌리엄 크레이그에 대한 에피소드라든지, 우연히 작가와 만나 차 한잔 두고 담소를 나누는 듯한 느낌을 주는 수필들이었다. 그만큼 나른하고 소소하다. 담백한 어조는 수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으로 실린 <유리문 안에서>는 1915년에 아사히 신문에 게재된 수필을 한데 묶은 것이다. 이때 작가는 건강이 나빠져서 칩거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때마다 찾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들 다루고 있다. 읽다 보면 '나쓰메 소세키'라는 작가는 주변에 사람이 늘 끊이지 않았겠구나, 사람을 참 좋아하는 작가가 아니었을까 싶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인간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는 듯한 이 파트가 참 좋았던 것 같다. 


아직 작가의 작품을 고작 한 편 읽은 게 다라서, 그의 작품 세계가 어떠하다,라고 감히 말할 수가 없다. 일말의 힌트만 얻어가려 했을 뿐이다. 그런데 내겐 수필보단 역시 작품 쪽이 더 좋았던 것 같다. 글 속의 나쓰메 소세키의 시간과 나의 시간이 달라서, 문화가 달라서 그래서 아직 잘 보이지 않은 것들도 시간이 더 쌓이면 볼 수 있게 될지도 모르겠다.




( 이 리뷰는 현암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내가 남에게 해줄 조언은 아무래도 이 삶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만 해야 할 것 같다. 어떤 식으로 살아갈까 하는 좁은 구역 안에서만 나는 인류의 한 사람으로서 다른 인류의 한 사람을 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 삶 속에서 활동하는 자신을 인정하고 또 그 삶 속에서 호흡하는 타인을 인정하는 이사, 서로의 근본 의의가 아무리 고통스럽고 추하더라도 이 삶 위에 놓인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당연할 테니까. / 226-227쪽

지금의 나는 바보여서 사람들에게 속거나 아니면 의심이 많아 사람들을 받아들일 수 없거나, 이 두 가지밖에 없을 것 같다. 불안하고 불투명하고 불쾌감으로 가득 차 있다. 만약 그것이 평생 계속된다면 인간이란 얼마나 불행한 존재일까. /274쪽

집도 마음도 쥐 죽은 듯 조용해진 가운데 나는 유리문을 활짝 열고 조용한 봄 햇살에 싸여 넋을 잃은 채 이 원고를 끝낸다. /3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