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7
정용준 지음 / 현대문학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령』






**


악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이 작품은 그 본질과 더불어 존재론적인 질문도 함께 하고 있는데, 흥미롭게도 그건 혈연 즉, 가족이라는 관계성에 자리하고 있다. 악의 모습으로 대변되는 인물이 영원성의 종결을 결심했을 때, 재회한 '가족'으로 인해 다시금 생의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급 인사들과 현직 국회의원을 살해한 범인, 고요한 자세로 현장에서 체포되어 곧 자신의 범행을 자백하고 1심에서 형을 받아 살고 있는 남자. 수감번호 474번으로 불리는 남자는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만한 게 어느 하나 존재하지 않는 유령 같은 남자이다. 행위의 목적을 묻는 여론과 사람들 앞에서 자신이 행한 범죄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하지도, 목적이나 원한도 없다며 무심한 태도를 보이지만, 몸에 생기는 작은 상처에는 민감하게 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곧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희귀성 질환의 일종인 선청성 무통각증을 가지고 있었음을 고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의문이 해소된다.


수감자 474번 말고도 담당 교도관인 윤을 비롯된 다른 주변 인물들 역시 각자의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윤이라는 인물은 474번 남자와는 다른 결의 ‘악’의 성질을 지닌 사람으로 보인다. 제 3자의 입장에서 앞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에 대해 관망하는 것을 즐기는데, 그 상황인즉 타인의 고통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지점이다. 타인의 고통을 보며 희열을 느끼는 윤을 비롯된 다른 인물들 역시 각각의 입장과 이해관계에 있어서 겉보기에만 좋은 모습으로 포장하려는 위선적인 태도가 바탕이 되고 있다. 


그러한 일면으로 다른 교도관들과는 달리 윤은 아무 거리낌 없이 사람을 죽여 놓고도 용서를 구하거나 변명을 하지 않는 남자에게 본능적으로 이끌리듯 호기심이 가진다. 남자가 가진 배경이나 본질, 왜 범죄를 저지르게 되었고 그러한 태도를 취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다른 그 누구보다 더. 

  

누가 더 악한가에 대한 질문보다는 악은 어떻게 탄생되고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게 주력한 목적 의식이라면 곁가지로 등장하는 문제는 바로 사형제도에 대한 입장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관심을 크게 두지 않아 인지 못하고 있었지만, 알아보니 우리나라는 사형 제도가 폐지된 것이 아니었고, 다만 수년간 집행되지 않고 있었을 뿐이었다. 이에 대해서도 묵직한 질문을 던질 수밖에 하는 게 바로 이 작품의 뛰어난 특징이 아닐까 싶다.

  

남자는 그렇게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다, 어느 날 자신을 찾아온 신해경이라는 인물과의 만남 후에 자신의 사형 집행을 촉구하기 이른다. 여기서 윤의 역할이 크게 작용되는데, 두 사람 사이의 엉킨 오해와 상처의 실마리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것도 순수한 호기심에 비롯된 것이었지만, 그로 인해 남자는 다시 살고자 하는 의지를 가져보지만, 이미 세상의 관심과 여론은 죄질에 따른 법집행에 대해 뜨겁게 불붙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폭주하듯이 또 다른 사건이 발생되고, 결국 뒷맛 씁쓸한 결말 만을 남기게 된다.

  

신해경과 남자와의 관계성, 신해경을 자신의 누나이자 친구이자 엄마라고 불렀던, 그리고 자신을 버리고 떠났던 누나에 대해 원망과 좌절을 품고 있었던 남자의 근원에 대해. 왜 세상으로부터 도망칠 수밖에 없었는 지에 대한 사정을 이야기할 때, 신해경의 목소리로 발화하는데 너무 빈번하게 발생된 현실의 사건들로 인해 그렇게 짐작할 수밖에 없는 게 참으로 씁쓸했다. 아프게 다가왔다. 그렇지만 그런 게 아닐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기도 했다. 그렇지 않으면 그 남자, 신해준의 삶보다도 더 비참했던 신해경의 삶이 모성으로만 직결되기엔 그 주체성 상실이 마음 아프게, 너무 크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단단한 느낌의 어조가 잔잔한 호흡으로 이어졌고, 버석거리는 느낌의 문장들의 끝엔 물기가 어린 듯 했다. 생각보다 술술 읽히는 이야기는 아니었지만, 담긴 이야기에 비해 읽는 속도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다. (좋은 의미로)걸리는 부분들이 많아서, 읽다 체할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지만, 그래서 이 작품이 더 큰 여운을 남기는 듯 하다. 

  


그리하여 악은 어디에서 오고,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 것인가.

  


  


**



누군가 몰락하는 풍경을, 누군가의 비밀이 어떤 이유로 인해 탄로 나는 모습을, 후회와 절망으로 무너져 침 흘리며 우는 모습도 지켜봤다. 직접적으로 엮이지 않고, 인과에 참여하지 않고, 그러나 완전히 무관하지도 않은 거리에서 그것을 지켜볼 수 있도록 윤은 언제나 적당한 거리를 찾아냈고 선 앞에 서 있었다. 어떤 이는 윤을 사악하다 했고 어떤 이는 윤을 무섭다고 했지만 대부분 윤을 깔끔하고 합리적인 사람이라 좋아했다. 39쪽

  

  

엄지발가락 옆에 네 개의 까만 발가락이 흐물흐물 흔들리고 있었다. 어둠으로 만들어진, 그러나 만질 수는 없는 모종의 형상. 그것들은 가벼운 연기 같고, 투명한 그림자 같고, 끔직한 악령 같았다.     46쪽

  

  

사랑하는 사람의 눈이 두려움과 공포가 깃들면 나 자신이 괴물처럼 느껴집니다. 존재하면 안 될 것 같은 끔찍한 기분을 느끼게 되는 거예요.    59쪽

  


시간은 하루 이틀 지나지 않고 기다림과 외로움으로 흘렀다. 어느 날 회색으로 변한 게딱지 위로 눈처럼 하얀 서리가 덮여 있었다. 마침내 받아들였다, 버려졌다는 것을.    81-82쪽

  

  

겁쟁이들은 저로 인해 강해졌고 원한이 많았던 자들은 저로 인해 원한을 풀었습니다. 그는 그 대가로 삶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조사관들이 저를 유령이라고 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맞는 말입니다. 존재를 숨겨야 존재할 수 있는 사람. 그게 나였습니다. '쁘리즈락', 그곳에서 저를 부르는 명칭입니다. 여기 말로 '유령'이죠.     127쪽

  


러시아 사람들은 묘한 구석이 있습니다. 겨울의 세계에서 나고 자란 탓인지 몸도 마음도 말투와 음성까지 조금씩 얼음이 섞여 있습니다. 얼음 바다를 보신 적 없으시겠죠. 겨울이 오면 그들은 바다 위에 서 있습니다. 걷고 뛰고 뒹굴기도 하죠.   129쪽

  


그는 계속 미움과 그리움이라는 말을 번갈아가며 중얼거렸다. 나중엔 너무도 작은 소리로 들리지 않게 소곤거려 방 안엔 움, 이라는 희미한 울림과 떨림만 가득했다. 움. 움. 움. 132쪽

  


부서졌던 시간이 다시 모이고 있습니다. 일그러진 그림. 기괴하고 조립된 얼굴. 한쪽은 웃고 있고 한쪽은 울고 있습니다. 떠나가고 버려지고. 두 가지 일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습니다. 보고 싶고 죽이고 싶고. 두 가지 생각도 동시에 할 수 있어요. 사랑하고 미워하고. 두 가지 감정도 동시에 가질 수 있습니다.    133쪽



투명한 물약 한 방울에도 피와 근육이 망가지고 녹아버리는 인간이라는 존재는 얼마나 하찮은가.   153쪽


  

실수였지만 대부분의 실수가 그렇듯 돌이킬 수 없었다. 사수는 죽지 않는 몸을 갖고 있었기에 고통 또한 사라지지 않고 몸에 남게 된다. 생명을 앗아가는 고통을 품은 불사의 몸. 그는 영원한 고통을 참다못해 자신의 죽지 않은 본성을 다른 이에게 양보하고 죽음을 선택하게 된다. 

175-176쪽





(이 리뷰는 현대문학 출판사의 '문학독후'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