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를 위한 도시는 없다 - 처음 만나는 페미니스트 지리학
레슬리 컨 지음, 황가한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5월
평점 :
페미니스트 지리학자인 저자는 남성문화 중심인 도시에서 사는 여자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성 편향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과거엔 여성은 도시와 어울리지 않는 존재로 취급받았다
여성은 가정에 머무르고 도시는 남성의 일터가 있는 장소였다
시대가 바뀌고 여성들도 경제적.사회활동을 시작하면서 도시환경은 이전보다 업그레이드되었지만 과연 여성들도 동의할까?
'페미니스트 지리학'이라는 용어 자체도 생소했지만 어렸을때부터 어른이 된 지금까지 도시에서만 생활한 여성인 내가 도시에서 느낀 성차별은 어떤게 있을까? 진지하게 생각해본 것도 처음이었다
1장 엄마들의 도시 도시는 어떻게 엄마들을 외면했는가 2장 친구들의 도시 여자들의 우정이 도시를 구하리라 3장 혼자만의 도시 도시는 여자를 홀로 두지 않는다 4장 시위의 도시 때로는 그냥 거리에 나가야 한다 5장 공포의 도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담하며 현명한 여자들..
총 5장으로 나누어 페미니스트적 관점에서 도시가 어떻게 남성중심적으로 설계되어 왔는지, 왜 도시가 여성을 위한 공간이 아닌지, 남성중심의 도시가 여성의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책에는 공중화장실, 아이 돌봄시설, 여성 안전 등 여성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도시 인프라뿐만 아니라, 도시에서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 여성의 활동을 제한하는 도시계획, 도시가 여성에 대한 폭력에 대응하는 방식 등 도시에 만연한 가부장적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들의 원인이 그동안 도시계획을 남성이 주도했으며 이들에게 도시계획을 위한 표준 인간은 여성이 배제된채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했기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책에 나온 저자가 직접 경험한 도시생활에서의 성 차별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도 충분히 공감가는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내가 살고있는 서울은 어떨까? 생각해보았다
예전에 비해 공중 화장실의 접근성이나 안전성도 좋아졌고, 백화점이나 쇼핑몰의 수유시설도 늘어났고, 평일 심야시간 골목길이 많은 동네엔 여성들을 위해 집까지 동행해주는 안심귀가 서비스나 정류소가 아닌 곳에서도 내릴수있는 안심귀가 마을버스도 생겼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들은 매일 도시 거리, 어두운 골목길, 지하철 플랫폼 등에서 남성들이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불편과 불안을 체험한다
나 또한 여자화장실 앞에서 몇십분씩 줄을 서서 기다리거나 친구들과 만날때도 야외나 공원보다는 카페를 더 선호하고, 늦은 밤 귀가할땐 지름길보다 가로등이나 CCTV가 설치된 길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이런 불평등을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이 책을 읽기 전까지 한번도 여성의 관점에서 도시를 생각해 본 적이 없었던 나 자신부터 반성하고 관심을 가지며, 더 많은 사람들이 여성친화적 도시를 만들기위해 다양한 문제제기를 하고, 남성 여성 젠더에 상관없이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생활을 할수있도록 차별없는 공정한 플랜을 다시 짜야할 것이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 이벤트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