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악의 꽃 - 1857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지음, 이효숙 옮김 / 더스토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시인 샤를 보들레르 탄생 200주년 기념 1857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악의 꽃> 시집이다

샤를 보들레르가 남긴 단 하나의 시집이라는 희소성도 크지만 무엇보다 표지가 클래식하면서도 아름다워 시를 읽기도 전에 타임머신을 타고 그가 살았던 시대로 시간여행을 떠나는 기분이 들었다
사람들이 왜 오리지널 초판본을 소장하려고 하는지 알수있을만큼 고전의 멋스러움이 풍겨나온다

보들레르가 20대부터 20년간 쓴 시를 모아 완성한 악의 꽃은 '독자에게'라는 시로 시작해 우울과 이상 파리풍경 포도주 악의 꽃 반항 죽음 6개의 챕터로 구성되어있고, 1866년과 1868년 판본에 추가된 시와 기타 몇편의 시를 추가로 수록하고있다

인간과 세계의 어두운 단면들을 그린 시인답게 목차에 나온 소제목들을 살펴보면 돈에 팔리는 뮤즈, 지옥에 간 돈 쥐앙, 교만의 벌, 썩은 고기, 독, 금이 간 종, 유령, 괴로움의 연금술, 귀신, 달의 슬픔, 죽음의 춤, 살인자의 포도주, 형벌을 받는 여인들, 뱀파이어의 변신, 사탄의 신도송, 깊은 구렁, 모욕당한 달, 어느 저주받은 시인의 묘지 등 음울하거나 괴기스럽거나 공포스러운 것들 뿐이다

보들레르의 시를 읽기 전까지 시는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단어들만 골라 한땀한땀 수를 놓듯 쓴 글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반대도 시가 될수있다는걸 가르쳐주었다
악의 꽃에 나온 거의 모든 시들이 아름다움보다는 고뇌 번민 좌절 유혹 금기로 가득하다

보들레르의 생애 또한 그의 시와 다르지 않았다
평생 무절제하고 방탕하게하게 살았으며, 가난과 빚에 시달려야만했다
악의 꽃도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벌금과 시 여섯편이 삭제 판결을 받았다

시를 읽는내내 보들레르는 왜 아름다움과 반대되는 것들만 시로 쓴걸까?
왜 어둡고 추한 욕망에서 아름다움을 찾으려고 했던걸까?
몇줄의 시만으로는 풀리지않는 의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생겨났다

악의 꽃은 보들레르 이전과 이후로 시로 구분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있는 위대한 작품이다
작가와 제목만 알고있는 많은 고전들처럼 악의 꽃도 읽기는했지만 보들레르가 독자들에게 말하고싶었던, 보여주고싶었던 세계에 문만 살짝 열어본 느낌이다

다른 시들처럼 한번만으로 가슴의 큰 울림이나 긴 여운을 기대하기보다는 여러번 천천히 상상하면서 읽기를 추천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