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로 읽는 재테크 경제학
최병희 지음 / 다산북스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7년 전 김민수의 다이어리...

주식 투자 실패로 빚의 굴레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는 그 때, 살면서 가장 절망적이었던 때 ....

그 눈물과 고통의 시간을 대변하는 메모지와 함께 이 책은 시작한다.

 

1996년 김민수의 주식투자는 시작되었다. 재미 삼아 시작 했던 주식투자는 갑작스런 결혼으로 인해 그만두게 되었고

IMF 라는 상황을 타고 잠시 주춤하게 된다.

김민수가 주식 투자는1999년 이른바, 닷컴열풍이란 인터넷주가 급부상하면서 부터 재개 된다.

아내의 반대에도 무릎쓰고 독학으로 주식공부를 하여 계속되는 주식 투자속에서 점점 빚이 늘어나게 된다.

얼마지나지 않아 그들의 보금자리인 아파트까지 처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맞이하게 된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 2002년 한일월드컵 16강전 응원속에서 그는 최수길PB를 만나게 된다.

그는 최수길의 처음PB생활에서 첫번째 가르침을 받게 된다.

"좋은 펀드라면 시장을 이길 수 있다는 전제가 잘못 되었던 거야. 투자는 절대 시장에 맞서면 안 되고,

시장의 흐름, 돈의 흐름을 타며 자연스럽게 흘러가야 한다는 사실을 그때는 몰랐던 거지.

좋은 펀드만 고르면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생각, 이게 큰 착각이라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지." 

 

또한, 최수길은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좋은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 나쁜 종목에 투자하는 게

성공확률이 더 높듯이 주식종목보다 시장의 흐름을 잘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한 시장을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경제, 금융현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려준다.

 

이렇게 재테크에 대한 관심의 첫걸음이 경제,금융현상에 대한 이해라는 것을 서두로 이 책은 너무나 쉽게

책 곳곳에서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1. 주가가 경기에 선행한다는 규칙이 경기 저점에서 적용되는 점(경기 고점에서는 적용 되지 않음을 알려주기도 한다)

 

2. 분석표를 통해서 경기 주기의 패턴을 분석해 주고 있다. (약 2년 주기로 순환되며 1년 확장과 1년 수축의 과정을 반복)

 

3. 매 짝수 연도 1분기 또는 2분기에 경기 고점을 찍는 것 또한 분석표를 통해 알려 주고 있다.

 

4. 돈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금리의 움직임을 알아야 한다.

   (금리 변화가 돈의 흐름을 바꿔 놓고, 돈의 흐름이 변화하면 가격이 움직이게 되고, 바로 여기에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생기다는 것) 

 

성장이 느려지는 저금리 사회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새롭게 대두되어진 적립식 펀드에 대한 이야기가

시간의 흐름에 맞게 적절하게 등장한다.

 

1. 적립식 펀드는 코스트 애버리지 효과를 추구하는 대표적인 투자 방식 (예를 들면, 매월 100만원씩을 투자하여 A회사 주식을 살 경우,

첫째 달 주가는 10,000원 둘째 달 주기는 5,000원이었다면.. 첫째 달에는 100주, 둘째 달에는 200주를 사게 된다.

두 달간 매입한 A회사 주식의 평균 매입 단가는 7,500원이 아닌 6,667원(200만원 ÷ 300주)이다.)

 

2. 투자에 있어 장기적인 판단을 할 때에는 주가와 금리의 역의 관계를 생각하고,

    단기적인 판단을 할 때에는 주가와 금리의 정의 관계를 생각하라.

 

그 밖에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이 줄어드는 이유와 환율을 결정하거나 변동시키는 주 요인으로

국제수지, 경제 성장, 이자율, 물가, 통화량, 외한 정책에 정치적인 변수나 지정학적 변수에 대한 설명을 해 준다.

경기 부양의 필요성을 잠재 성장률로 판단하는 이유를 설명해주기도 한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핵심적인 경제 정책 목표 두 가지는 성장과 물가 안정이다.

우리나라 경우 성장은 재경부에서 담당하고, 물가 안정은 한국은행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 둘의 상호 작용에 대한 설명도 해준다.

 

나아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설명까지 덧붙이면서 이 책은 경제학원론적인 측면들을

경제학도가 아니더라도 손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글을 읽으면서 이런 것들은 책을 읽지 않고도 혹은 아무나 아는 걸 이제야 알게 된거야 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Back to the Basic " 이란 말처럼 그리고 저자의 말처럼 기본에 충실해야 함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