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상의 심리학 - 예술 작품을 볼 때 머릿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오성주 지음 / 북하우스 / 2025년 3월
평점 :
그림을 볼 때 초심자와 전문가는 형태와 색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 초심자들은 무엇이 표현되어 있는지를 알아내려고 작은 영역에 주의를 기울이고, 전문가들은 그림의 스타일과 전체적인 구성에 주의를 기울인다. -55p
관람객들마다 그림 앞에 머무르는 시간이 달랐는데, 48퍼센트의 관람객들은 각 그림에서 대략 10초 정도만 머물렀고, 35퍼센트는 30초가량을, 나머지 17퍼센트 가량은 40초 이상을 머물렀다. -64p
밀레의 그림은 많은 화가들에게 영감과 용기를 주었다. 박수근은 이 그림을 보고 자신도 밀레와 같은 훌륭한 화가가 되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또 기도했다. -147p
후기 인상주의 이후 등장한 야수파 화가들은 더욱 과감하게 색을 사용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를 두고 "색이 형태로부터 해 방되었다"라고 표현한다. -176p
✱
예술 작품을 볼 때 머릿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감상의 심리학> -
근대와 현대, 서양과 동양을 아우르는 그림 감상의 법칙 심리학 실험으로 예술 감상의 비밀을 밝힌다.
"감상은 미술 작품 앞에서 일어나는 특별한 심리 행동이다.”
예술심리학의 흥미로운 실험과 결론을 소개하면서, 예술가와 예술 작품의 뒷이야기도 재미있게 풀어낸다.
고전미술, 현대미술 작품을 볼 때, 너무 좋은데 왜 좋은지 모르겠거나, 아예 이해하지 못하는 난해한 작품을 볼 때가 있다. 옆사람이 이해할 수 없는 그림을 감격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으면, 아 좋은건가 하고 나도 괜히 따라 한참을 바라본다.
나의 부족한 미술지식을 탓하기만 했지만, 이 책을 읽으며 감상이란 감상자가 주인공이 되어, 내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심리에 집중하면 된다고 한다. 미술감상 참 쉽쬬잉~
작품하나를 보며 눈과 뇌에서 수많은 처리과정이 있고, 작품을 더 오래볼지, 다음 그림으로 넘어갈지, 재감상을 하러 다시 올지를 판단하게 된다. 작품중심감상, 미술시적감상, 예술적감정과 공감각, 그림의 크기, 색의 사용과 기법, 질감등으로 그리을 다양하게 느낀다.
그저 그림 보는 것이 좋고 미술관의 냄새와 소리가 좋아했지, 나의 모든 지식과 감각과 기분을 총 동원한 심리행동이 그림감상이었다니 더 매력적이다.
감상의 원리와 감상전략을 설명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모네 고흐 세잔 쇠라등의 그림들을 많이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