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밑줄 긋는 남자 - 양장본
카롤린 봉그랑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프랑스 작가 '카롤린 몽그랑'의 두 번째 작품 '밑줄 긋는 남자'다.

 

일단 여러가지가 생각난다. 맨 처음 서점에서 이 책을 봤을 때, 제목이 특이해 살펴본 적이 있었다. 놀랍게도 책에는 밑줄이 그어져있더라..그러니까 밑줄이 인쇄되어있더란 소리. 그러나 주머니가 얇은 나에겐 너무 얇고 비싼 책이라 외면했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 외면하길 잘 했단 생각이 든다. 이렇게 느긋할 때 읽기에 참 좋은 책이니까.....

 

주인공 이름이 '콩스탕트'다. '콩스탕트'는 뒤마의 삼총사에 나오는 '달타냥'의 여자친구, '보나시외 부인'의 이름이기도 하다. 그녀는 아버지의 친구인 '보나시외'와 결혼한 인물로, 젊은 달타냥과 바람이 났다가, 결국은 '밀레디'에게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 인물이다.

 

그러나 이 작품의 '콩스탕트'는 비극적인 것과는 도무지 연관이 안 되지만, 스스로 비극속의 주인공 쯤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만큼 감수성이 남다른, 아니 실은 평범할 지도 모르는, 20대 중반의 여자이다.

 

그녀가 마을 도서관에서 빌린 책 속에서 밑줄을 발견하고는, 그걸 자기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곡해하면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녀는 밑줄 긋는 남자가 정해준 다음 책을 읽고, 다시 다음 책을 읽고...이런 식으로 남자의 흔적을 좇는다...

 

 

책은 니미에(누군지 모름), 도스또예프스키, 키에르케고르, 가리(처음 들었음) 등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문학 텍스트들을 이용해 자신의 상상력을 마구 쏟아낸다.

 

정말 교묘하고 영리한 작품이란 생각이 든다......만.....................

 

이 책의 역자후기에는 '누구든 소설 속의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화 시키는....'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도서관이라는 곳에서 책을 매개로 이어지는 사랑이란 얼마나 낭만적인가, 고로 누구나 이 책을 읽으면 책속의 주인공을 자신과 동일화하며 즐기지 않겠느냐, 또는 그렇게 즐기기에 이 책은 아주 좋다라는 식의 평가다. 그래, 맞는 말이긴 하다.

 

그러나 나의 경우, 이 책을 읽으며 소설 속의 인물 누구도 나와 동일화 시킬 수 없었다. 실은 요즘 그런 경험을 거의 해보지 못했다. 소설은 그냥 소설일 뿐, 감정이입의 단계로 날 이끌지 못하더라. 그런 경험을 갖게 한 책은 오로지 두 권으로, 읽는 동안 내가 책속에 있다고 느낀 것은 '바우돌리노'가 유일했고, 읽은 후에 책 속에 있었다고 느낀 것은 '전날의 섬'뿐이었다.

 

 

 

이 작품은 갈증날 때 마신 청량음료 같다....

 

마실 땐 시원하지만, 잠시 후에 더 한 갈증이 찾아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움직이는 손가락 애거서 크리스티 미스터리 Agatha Christie Mystery 15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이가형 옮김 / 해문출판사 / 199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3년 작이던데, 그때면 2차대전 중이었겠죠.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주인공의 직업이 '폭격기 조종사'이기 때문입니다. 부상 치료차 '라임스톡'이라는 시골 마을에 내려와 요양을 취하던 중 음란한 익명의 편지 사건과, 이어지는 주민의 자살, 다시 이어지는 그 집 하녀의 피살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그런데 내용은 심심하기 짝이없습니다. 가장 범인일 것 같은 사람에 대한 기초적인 추리 지식만 있었어도 대략 감잡을 수 있었을 텐데....명민치 못한 제 뒤뇌 탓에 범인 잡는 재미는 얻지 못했습니다. 게다가 주인공이라 믿었던 마플은 몇쪽 나오지도 않더군요.

 

 

이래저래 추리물 잡기 망설이게 만들어버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사고의 숲
로버트 홀드스톡 지음, 김상훈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근 3주에 걸쳐 출퇴근 길에 좋은 동무가 되어주었던 '미사고의 숲'을 다 읽었습니다. 첨엔 무슨 소린가 의아 하고, 너무 이상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책을 놓기 점점 힘들어지더군요.

 

이 책에는 '라이호프'라고 불리는 참나무숲이 있습니다. 그 숲은 뛰어서 한 시간이면 둘레를 다 돌 수 있을 만큼 작지만, 그 중심에 이르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기이한 숲입니다. 숲의 외곽에서 수 백마일을 걸어 들어가도 결코 중심에는 이르지 못 하는 이상한 숲. 게다가 그 숲안에는 멸종한 것으로 알려진 여러 동물들이 살고 있고, 아주 많은 부족이 저마다의 영역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부족들은 자신들 고유의 언어로 고유의 신화나 전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가장 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것이 전부 그 숲을 둘러싸며 살아가고있는 사람들의 무의식 속에서 창조된 것이란 점이죠. 인간의 무의식이 실체화 되는 숲....

 

그래서 아버지가 최초로 창조한 여인과 큰아들이 사랑에 빠지고, 그녀가 죽자 큰아들은 그녀를 찾기 위해 숲으로 들어가고, 다시 작은 아들이 재창조된 그녀와 사랑에 빠지고..큰 아들이 돌아와 그녀를 빼앗고, 작은 아들은 다시 큰 아들을 찾아 숲으로 들어가고.....

 

숲과 그것의 부산물, 그리고 인간인 창조주들 사이에서 환상적인 이야기들이 쏟아져나옵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다보니 논리적으로 일관되지 못한 점들이 눈에 띈더군요. 아니 그보다는 풀리지 않은 의문점들이 보인다고 하는 것이 옳겠습니다.. 그러나 환상문학이나 SF의 매력은 이런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아쉬운 마음에 자꾸 생각나게 하는 것.....

 

후속편격인 '라본디스'가 읽고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베르 인명사전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세계사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적의 화장법'이 맘에 들어 몇권 산 노통브의 책들 중 하나.

그러나 시종일관 밋밋하게 이어지는 이 작품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결말을 보여준다. 이런 결말에 열광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실망스럽기 짝이없다. 작가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결말을 낸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별로좋아하는팀은 아니었다. 이유? 마스코트가 맘에 들지 않아서. 책속의 주인공과는 다르게 난 슈퍼맨을 별로 좋아하지 안하서, 내지는 그것에 별 감동을 받지 못해서 야구 방망이 들고 서있는 아류 수퍼맨이 정말 촌스럽다고 생각해서 시작부터 그 팀이 싫었다. 당연히 꼴찌라 생각했다. 관심조차 안 갔으니까. 오히려 내 응원팀은 청룡이었다. 물론 유치하게 동물이라는 것들은 공통적으로 내 맘에 들지 않았었다.

그러나 장명부는 기억한다. 뿐이랴? 책에 등장하는 모든 선수들을 전부 다 기억하고있으며, 언급되어 있는 모든 시합의 내용들도 거의 전부 다 기억하고있다. 즉, 이 책을 이해하는데 아무 것도 방해가 되지 않았고, 그래서 아주 쉽게, 빠르게, 그리고 무지하게 재미있게 읽었다.

이 얼마나 대단한 읽는 재미인가? 빠르게 읽히는 미덕에, 그에 반한 심각한 내용, 그리고 가볍지만 쉽게 외면할 수 없고, 결국엔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책. 그저 대단하단 말밖엔 안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