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밥상 - 밥상으로 본 조선왕조사
함규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음식이야기는 재밌다. 

제목을 보고 산해진미 가득한 수라상이 차려지는 과정과, 왕의 음식을 위한 특별한 조리법 등을 상상하고는 침을 꼴깍 삼켰다. 
드라마 대장금에서 각 도의 귀한 재료로 조리한 찬들을 맛보고는
"맛이 참 좋구나~" 
라고 읊조리던 왕처럼,
페이지 가득 펼쳐질 궁중요리의 향연에
"글맛이 참 좋구나~"
를 읊조릴 준비를 하고 책을 맞이한 순간
제목 옆에 늘어진 빨간 글씨가 눈에 들어왔다. 

<밥상으로 보는 조선왕조사> ....

그렇다. 
이 책은 단순히 '왕이 무엇을 먹었는가'에 대해 쓴 책이 아니다. 
조선 왕들의 건강과 성격, 정치스타일과 흐름을 수라상을 통해 풀어낸 책이다. 


평상만한 수라상에 다 맛보지도 못 할 만큼의 음식을 차려놓고 이 찬, 저 찬을 조금씩 맛보고는 물리는 게 다였으리라 생각했었는데.....
다 맛보지도 못할 음식을 뭐하러 매번 저리도 그득그득 차려내나 했었는데.....

왕은 그 반찬의 신선도를 보고는 그 재료를 진상한 지역의 가뭄이나 재해등을 짐작하고, 대신들과 대책을 논의했다고 한다. 


"왕의 표정이 보일락 말락 굳어진다. 분명 감납물선(지방에서 올라오는 식재료를 궐내에 들이기 전에 그 신선도나 수량들을 검사하는 과정)을 거친 엄선된 식재료를 썼을텐데, 음식의 일부가 물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말랐거나 시들시들하다는 것은 해당 식재료를 진상하는 지역에 뭔가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생채의 신선도가 좋지 않고 생채보다 담가 두었다가 먹는 침채가 유난히 많다면, 채소류의 진상을 담당하는 경기 지방에 재해가 있다는 뜻일 수 있다. 또 역대 조선왕들이 가장 즐겼던 식재료의 하나인 전복이 덜 싱싱하면, 제주도의 수확량이 좋지 못하거나 진상 뱃길이 막혀 묵은 전복을 대신 썼다는 의미이다. 왕은 실망하지만 질이 떨어지는 음식 때문에 그렇다는 뜻을 드러내서는 안된다. 그것은 정치의 정점에 앉아 만기를 친재하는 제왕의 체면에 어긋난다. 대신 해당 지역의 사정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사옹원 제조에게 묻고, 대책을 의논한다. 공식조회에서도 논의되겠지만, 해당 지역에서 올린 보고를 눈으로 읽는 것보다 혀끝으로 느끼는 편이 상황의 심각성을 더욱 절절히 느낄 수가 있다."       -p.15~16-


TV도 전화도 없고, 
이 고을에서 저 고을로 소식을 전하는데만도
며칠이 걸리던 시절,
서울 궁 안에서 나라를 다스리던 왕이 지방의 상황을 비교적 명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수라상이었다니.....

그밖에, 장수한 왕과 단명한 왕의 식습관 비교, 폭군과 성군이 즐겨 먹던 음식들의 비교, 전쟁이나 국난 때, 혹은 태평성대일 때의 음식 차이, 같은 음식이지만 대에 따라 달라지는 재료들, 음식을 이용한 정치, 왕의 상황이나 마음을 밥상으로 표현하는 방법 등등.....
우리가 알지 못했던 수라상의 의미가 가득하다. 


책장을 덮은 지금 처음 책을 맞이할 때의 기대처럼 입안 가득 침이 고이지는 않았지만, 머릿 속에 수라상의 새로운 이미지들이 가득 차려졌다. 

어떤 것은 달게 재밌고, 어떤 것은 쓰게 어렵고, 어떤 것은 싱겁게 지루하고, 어떤 것은 짭잘하니 머릿 속에 쏙쏙 들어오니 다 읽은 책을 무릎에 놓고 나지막히 읊조려본다. 


"글맛이 나쁘지 않구나. 이만하면 잘 읽었다."


"여러 식물 중에 사용함에 이롭고 사람에게 유익한 것으로는 남령초만 한 것이 없다. 이 풀은 <본초>에도 실려 있지 않고 <이아>에도 보이지 않지만, 후세에 나와서 약상자 속의 필수품이 되었다. 일찍이 맛보니, 그 맛은 제호탕보다 낫고, 향기는 난초 향보다 나으며, 술에 비교하면 취해서 실언하는 잘못은 없으면서 선왕들의 말씀하신 합환의 즐거움이 있으며, 차에 비하면 입에 맞지 않아 억지로 마시는 괴로움은 없으면서 도가에서 말하는 상쾌함이 있다. (•••) 민생에 이용되는 것으로 이만큼 덕이 있고 이만큼 공이 큰 것이 어디 있겠느냐? -<홍재전서>
- p. 148~149-


"밥은 봄처럼 짓고, 국은 여름처럼 만들고, 장은 가을같이 만들고, 술은 겨울같이 빚으라 했으니 밥은 따뜻해야 하고, 국은 뜨거워야 하고, 장은 서늘해야 하고, 술은 차야만 한다. 대체로 음식이란 생명을 공양하고 신도를 흠향하는 것이니, 정결하지 못하면 마땅치 않다. 사치스럽게 만들지 않되 정성을 다해 만들어야 한다."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