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사인(死因)은


어렵지 않은 단어들이지만 시인의 마음을 붙잡기가 쉽지는 않다. 나같이 시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는 사람은 첫 시집이 신동엽 문학상을 받은 시인의 시도 잘도 이해 못한다. 현대시(詩)도 현대 미술과 같이 역사적인 맥락을 모르면 이해하기 힘든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그렇다면 시어(詩語) 하나하나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을 과감히 포기하고 무심한 듯 이해되거나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상념이나 느낌을 붙잡는 게 좋겠다 싶다. 그러니까 ‘다 이해되지 않은 그 자체’로 나의 시읽기를 만족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이야기다. 

시를 즐겨 읽는 것은 아니나 보들레르의 시가 정확히 그랬다. 그의 시를 처음 접했을 때의 당혹감을 잊을 수 없다. 왜 시를 이렇게 쓴 건지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었다. 한참 지나고 나서야 어쩌면 나의 반응이 보들레르가 의도하고 예상했던 반응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모든 근대인들, 근대시에 익숙한 모든 이들에게 ‘당혹스러움의 주먹’을 휘둘렀던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시를 썼으니 그럴 것이다. 나도 그 주먹에 제대로 맞았으니, 내가 그의 시를 가장 정확히 읽은 것은 아닐지라도 가장 적절히 읽은 것일지도 모른다. 

다행히 평론가 신형철이 그랬다. 어떤 시는 제목으로 끝장나는 경우가 있다고. 그리고 시인 박준의 이 시가 그런 시라고 했다. 그러니 오늘 이 시의 제목을 얻은 것으로 만족하겠다.

 

 

 

창문들은 이미 밤을 넘어선 부분이 있다 잠결이 아니라도 나는 너와 사인(死因)이 같았으면 한다

이곳에서 당신의 새벽을 추모하는 방식은 두 번 다시 새벽과 마주하지 않거나 그 마주침을 어떻게 그만두어야 할까 고민하다 잠이 드는 것

요와 홑청 이불 사이에 헤어 드라이어의 더운 바람을 틀어넣으면 눅눅한 가슴을 가진 네가 그립다가 살 만했던 광장의 한때는 역시 우리의 본적과 사이가 멀었다는 생각이 들고

나는 냉장고의 온도를 강냉으로 돌리고 그 방에서 살아나왔다

내가 번듯한 날들을 모르는 것처럼 이 버튼을 돌릴 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아서 맥주나 음료수를 넣어두고 왜 차가워지지 않을까 하는 사람들의 낯빛을 여관의 방들은 곧잘 하고 있다

"다시 와, 가기만 하고 안 오면 안 돼"라고 말하던 여자의 질긴 음성은 늘 내 곁에 내근內勤하는 것이어서

나는 낯선 방들에서도 금새 잠드는 버릇이 있고 매번 같은 꿈을 꿀 수도 있었다

_ 『나의 사인(死因)은 너와 같았으면 한다』 전문

 

 


언젠가부터 나는 ‘믿는 사람’을 믿지 않기 시작했다. 나는 그들과 나의 믿음을 의심했다. 내가 믿는다고 고백한 그 고백의 실체와 그들이 고백한 그 고백을 날 것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믿는다는 사람들의 믿음은 주일성수이거나, 십일조이거나, 순종이거나, 혼전순결이거나, 기도이거나, 손을 들고 찬양을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일성수’는 그저 시간을 때우는 것에 지나지 않는 출석이거나 인간관계를 끊고 싶지 않은 마음을 못이긴 것이었고, ‘십일조’는 위험 부담 없이 베풀 수 있는 기부였고, ‘순종’은 예수의 말이 아니라 목사의 말에 대해서 그런 것이었고, ‘혼전순결’은 도덕이라곤 성(性)도덕밖에 모르는 이들의 윤리적 우월감을 위한 도취였고, ‘기도’는 최근에야 유행하게 된 8분짜리 공개 강연이었고, ‘손을 들고 찬양’하는 일은 음악적 소양을 지닌 이들의 감상에 지나지 않았다. 내 의심은 정당했다. 우리의 믿음에서 나는 믿음의 실체를 발견하지 못했다.

“나의 사인(死因)은 너와 같았으면 한다” 이 지극한 사랑의 언어에 나는 황홀하다. 사랑이 고백의 언어라면 이 고백은 죽음을 동반한 고백이다. 죽음을 동반한 고백은 사랑이 죽음 같이 강하다(아8:6)는 것을 입증한다. 예수는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다(요15:13)고 했던가. 그래서 그는 인간의 친구가 되었고, 인간을 위해 죽었나. 그렇다면 예수를 믿는다는 이들의 믿음도, 고백도, 사랑의 실체도 이래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나의 사인(死因)은 예수와 같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