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케빈 워릭 지음, 정은영 옮김 / 김영사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그는 분명 소위 말하는 스타 과학자이다. 책을 읽다보면 과학 영웅이라는 말도 나온다. 세계최초로 사이보그가 된 그는 분명 그런 명칭이 걸맞다. 세계최초라는 말 다음에 사이보그라는 단어가 SF적인 크롬광택을 더해 주고 있다.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그보다는 다른 것에 자꾸 눈길이 간다.

과학자 케빈 워릭의 전망은 이렇다. 미래의 시작은 영화매트릭스에서 보여주는 비극의 시작과 다르지 않다. 인공두뇌, 로봇 그리고 인터넷이 세계를 지배할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 결말은 매트릭스와는 다르다. 인간은 기계에 강제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그길을 스스로 선택한다. 기계와 인간 사이의 정반합적 투쟁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사이보그의 길이 인간의 확장이라고 한다. 또한  미래는 갑작스런 초인의 등장으로 시작되지 않는다. 사이보그의 초기 장비들은 장애인의 보조장비로, 군의 특수 장비로 천천히 찾아올 것이다. 그리고 점차 일반인용, 민간인용이 보급되어 갈 것이다. 그리고 사이보그가 주는 오락과 쾌락으로 인해 모든 인간들이 그 길을 선택할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이 그러했듯이. 그리 먼 미래도 아니다. 저자는 그 미래를 직접 보게되리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는 그 미래를 직접 만들어 가고 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자꾸 관심이 가는 것은 그가 만들고 있는 미래의 모습이 아니다. 스타 과학자로서 그의 능력이 놀라운 것이다. 리더로서 연구팀을 이끌어 나가고, 언론매체를 통해서 대중의 관심을 끌고, 꾸준한 교류를 통해 과학자 집단내에서 정치적인 힘을 얻고, 투자자들로 부터 연구비를 끌어오는 능력 말이다. 그는 자신의 연구팀만을 위한 홍보담당자까지 고용하고 있다. 이제 더이상 과학자는 이상한 화학약품 냄새와 금속 부품들로 가득찬 작업실에 처박혀 자신의 세계에 몰두해 있는 괴짜들이 아니다.  21세기의 스타 과학자는 조직을 이끄는 매니저, 대중적인 인기 강사, 연구비 유치 전문가, 사교모임의 스타가 되어야 한다. 물론 그의 연구업적이 허접할 지도 모른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다만 21세기의 진정한 스타 과학자란 연구만 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는 스티븐 호킹도 스타 과학자이자 21세기형 과학자이다. 그는 신체적 장애를  극복한 천재의 이미지로 알려졌지만 사실 그는 끊임없이 대중적인 책을 내면서 그의 우주이론을 소개하는 외에도 갖가지 가십거리를 세상에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그의 기존이론이 틀렸다고 한 고백에 대해 언론매체들이 몰려들어 떠들어 대지 않았는가.

케빈 워릭이 제시하는 미래는 암울한가 아니면 밝고 찬란한가. 100년전, 200년전 사람들이 21세기의 세계를 뭐라고 했을 런지 추측하기는 어렵다. 마찬가지로 오늘의 사람들이 미래에 대해 단정지을 수 없다. 다만 그가 가는 길은 피할 수 없는 길이고 어쩔 수 없는 인류의 갈 길인 것으로 보인다. 내가 암울해 지는 것은 그가 보여주는 미래때문이 아니다. 그의 과거 때문이다. 이 위대한 스타 과학자는 10대에 주말에 축구를 하거나 대형 오토바이를 몰고 다니는 폭주족  전화기 수리공이었다고 한다. 그것이 부러워서 우울하다.

참고: 번역하신 분이 고생하신 것은 이해한다만, 다른 독자를 위해 몇 가지 말하고 싶다.  205쪽의 EEG는 뇌파계 또는 뇌전도검사계를 말한다. 그리고 전혀 엑스레이를 쓰지 않는다. 물론 전기 뇌수 엑스레이 사진이라는 말이 더 멋있기는 하다. 하지만 334쪽의 autoclave는 고압솥이라고 하기 보다는 가압증기멸균기가 더 쿨~하다. 그리고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솥처럼 생기지 않은 것도 많다. 이런 실수가 더 있었던 것 같은데 이 정도는 의대생이라도 교정해 줄 수 있는 것들이다.  사이보그에 대한 책이라면 전자공학자 뿐아니라 의학자에게도 한번 감수를 받았어야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