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더 쇼크 - 엄마의 행복한 자아를 찾기 위한 모성의 대반전
EBS <마더쇼크> 제작팀 엮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 중앙북스 - 마더쇼크 ]

엄마의 행복한 자아를 찾기 위한 모성의 대 반전 !!
아이때문에 미칠듯이 행복하고
아이 때문에 죽을 듯이 불행하다 . . . .
아이를 잘 키우지 못하는 것 같다는 자책과 불안으로 괴로워하는 엄마들을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엄마로서 마땅히 보호 받아야 할 행복이 무너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이에 관한 한 '슈퍼맘'이어야 하는 오늘날의 엄마들,
그런데 이렇게 불철주야 최선을 다하는 엄마는 과연 행복할까?
안타깝게도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엄마라는 역할을 버거워하는 경우가 우리 주위에 너무 많다.
평범한 엄마들이지만, 마음속에 불어대는 광풍을 어찌할 줄 몰라 쩔쩔 매고 잇는 것이다.
아이의 성공과 행복에 대해서는 지대한 관심을 갖고 이야기 하지만
엄마의 행복에 대해서는 인색한 것이 이 시대의 모습이다.
무조건 아이를 위해 희생하고 참아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엄마가 행복하지 않으면 아이 역시 바로 설 수 없다 .
아이를 제대로 잘 키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모성에 대한 바른 이해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더욱 엄마 자신의 행복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식을 위해 무한한 희생만이 모성이라고 믿었던 엄마에게 좀 더 자신을 되돌아볼 기회가 있어야 한다.
또한 엄마가 여자로서, 개인으로서도 행복감을 누릴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이 시급하다.
자녀가 아닌 엄마 자신을 먼저 생각하고 되돌아보아야 하는 것은 엄마의 이기심이 아니다.
엄마가 스스로의 모성을 의심하면 엄마로서의 자아존중감도, 양육 효능감도 퇴색해버리기 때문이다.
엄마의 자존감과 효능감이 자녀에게 대물림되듯, 엄마의 정서적 안정과 행복감은 자녀의 행복이 될 것이다.
<<마더쇼크>>는 엄마의 행복을 위한 훌륭한 안내서이다.
지금까지 숱하게 불렀던 '엄마' 또는 '어머니'.
이제 엄마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 다시 새롭게 마주해야 할 이름이다.
-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의학박사 오은영 -

이 시대의 아픈 모성들이 말하다
.
.
.
자식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깝지 않은 , 헌신과 희생이란 이름으로 우리는 모성을 기억한다.
우리의 어머니 세대는 가부장적이고 전근대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남자보다 덜 교육받고 의존적인 성향을 가진 여성으로 자랐다.
사람들은 어머니의 희생과 헌신을 당연한 모성으로 여긴다.
아기를 갖게 되면 저절로 모성이 생기며, 좋은 엄마라면 그러한 모성으로 무장해 있어야 한다고 말이다.
"좋은 엄마 = 완벽한 엄마 " 라는 오해
.
.
.
어떤 엄마라도 '난 완벽한 엄마다' 라고 자신 하 수 없다.
완벽하기 위해 애쓰는 엄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완벽한 엄마가 되려고 애쓰는 과정이 누구에게는 즐거운 일일 수 있고, 누구에게는 인내와 고통을 느끼는 일일 수도 있다.
만약 후자의 경우에 속하는 엄마라면 자신이 나쁜 엄마, 모성이 부족한 엄마라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가 상상하는 완벽한 엄마란 어떤 모습일까? . . . .

외국 엄마에게서 배우는 아이의 독립심을 키우는 양육 원칙
사회 ,문화적 배경이 각각 다르면 양육법도 당연히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전문가들이 언급한 문제는 한국 엄마들의 양육법이 아이를 의존적으로 만든다는 사실이다.
일상 생활에서는 의존성을 키워주는 반면에 어릴 때부터 아이를 따로 재우거나 울어도 안아주지 않는 등
특별한 조치나 방법으로 독립심을 키워주려고 한다.
이 방법은 독립심은 커녕 아이와의 애착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만다.
아이의 독립성을 키우는 데 특별한 방법이 있는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길러지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 인지적 왜곡의 종류 -
지나친 일반화 - 한두 가지 사건을 보고 모두가 그런 것처럼 생각 하는 것이다.
"내가 매사에 다 그렇지"하고 생각한느 것도 지나친 일반화 이다.
양극단적인 사고 - 이것 아니면 저것으로 생각을 양극단으로 몰고 가는 것이다.
선택과 여과 - 자기가 보고 싶은 점만 보는 것이다.
지나친 자기비하 - 내가 하는게 다 그렇지, 내 주제에 뭘 하겠어, 남들이 날 좋아하겠어?등과 같이 말하는 것.
매사 자신과 연관시키기 -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누가 웃으면 "쟤들 분명 자신을 비웃는 걸꺼야" 라고 여기는 것.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가봅니다 .
엄마가 되면 행복할 줄 알았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를 윟 최선의 노력을 다합니다.
이것은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보람이 되어 나를 기쁘게 합니다.
하지만 엄마로서 만족하고 살아가는 것만이 내 행복의 전부일까요?
아이는 엄마를 행복하게 하지만 스트레스를 안겨주는 존재이기도 합니다.
아이 때문에 웃는 날이 많지만, 아이때문에 힘들기도 합니다.
아이를 중시믕로 돌아가던 엄마의 삶은 어느날 갑자기 성인이 된 아이가 부모의 품을 떠나게 될때 휘청거릴지 모릅니다.
열심히 엄마 역할을 하고 있지만 내가 지금 행복하지 않다면 어느순간 나의 모든 노력은 물거품처럼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엄마이기 전에 여자로서, 인간으로서도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면
우리는 좀 더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습니다.
행복한 엄마를 바라보는 아이는, 자신 또한 엄마의 모습을 닮고자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행복한 엄마가 행복한 아이를 키웁니다.

<<마더쇼크>>를 읽고 깨닳은 점이 정말 많은거 같아요.
사실 저 역시 동양의 한 엄마로서 이 책의 엄마들과 같은 행동들을 하고 있는 걸 알게 되었어요.
과잉보호가 유난히 심했던 친정엄마의 행동을 그대로 제가 우리 아이들에게 하고 있습니다.
하다못해 견학을 보낼때에도 그곳에서 일어날 어떠한 사건 사고를 미리 상상하고
보내지 않게 되는 일이 대다반수이다보니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달리 바깥 활동이나 견학을 자주 못가게 되는 경우가 잦앗습니다.
지금도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는 건 여전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불안감들이 아이와 저의 성장 모두를 망칠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이제는 좀더 아이를 믿어주고 아이에게도 기회를 줄 수 있는 현명한 엄마가 되고 싶습니다 ^^

맘스 홀릭 홈스쿨 바로가기 Click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