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한국사 - 인류의 출현부터 조선후기까지
김광일.김보라 지음 / 책들의정원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생생한 이야기, 쏙쏙 들어오는 한국사 - 처음 읽는 한국사 _ 스토리매니악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지식이 풍부한 축에 속하지도 않아서, 좀처럼 남들 앞에서 무언가를 더 알고 있다는 흐뭇함에 빠질 때가 없다. 그런 내가 '이 정도도 몰라?' 하며 흠칫흠칫 놀랄 때가 있는데,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서 쥐뿔도 모르는 젊은 녀석들을 만날 때다. 그들의 역사에 대한 무식(?)의 정도는 심각성을 넘어서 '너 한국 사람 맞니?' 라는 의문이 절로 솟을 정도다. 사극 드라마만 열심히 보았어도 알 수 있는 초간단마이크로나노스러운 지식조차 갖고 있지 못한 젊은 친구들을 보면서, 나는 생각하곤 한다, '내가 너무 늙었거나', '이 나라의 역사 교육이 심각한 수준이거나'..


내가 올바른 역사관의 중요성을 깨달은 것이 그리 오래 되지 않았음을 우선 밝힌다. 기본적인 역사 지식이 없어도 세상 사는데 아~~무 문제가 없기에 소홀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머리가 굵어질 수록, 내가 속한 문화권, 내가 속한 나라, 내가 자리하고 있는 땅에 대한 역사를 올바로 제대로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를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단순히 지식을 많이 쌓는 것이 아니라, 그 지식들 위에 단군의 자손으로써 올곧게 세울 수 있는 역사관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함을 말이다.


그런 역사관을 제대로 세우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많은 것이 필요하지만, 그 무엇보다 우선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역사에 대한 지식들이다. 적어도 그 지식들이 있어야 자신만의 역사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니 말이다. 그렇다고 깊이 지식들을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 부분들은 학자들의 몫으로 남겨두고, 개인의 몫으로 알 수 있는 정도의 지식을 쌓고 그 위에서 고민할 것들을 생각하는 것이 바르다고 생각한다.


역사적 지식들을 알기 위해 학교에서 그랬듯, 암기하며 우리의 역사를 '외울' 필요는 전혀 없다. 역사 이해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을 아는 것이라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이를 도와줄 제대로 된 책이 많지 않은 게 사실이다. 오로지 시험을 위한 역사 지식이나 흥미 위주의 뒤죽박죽 지식을 가르치는 책들이 너무 많다. 그래서 이 책처럼 전체적인 역사 흐름을 쉽게 이해하며 요소요소 필요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책이 더 반가웠는지도 모르겠다.


우선 이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부분이 있다. 책을 읽으면 역사가 생생하게 살아나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이다. 딱딱한 텍스트로 다가오는 역사가 아니라, 풍부한 자료와 거기에 더한 이야기들이 엮이며 역사의 부분부분들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저자가 10년에 걸쳐 현지답사를 통해 찍은 사진들은 텍스트로 상상한 역사에 실체를 부여해주고, 또 한 단계 위의 역사적 상상력을 만들어내게 도와준다. 한참 지나온 역사의 흔적들이지만, 그 흔적들 위에 그 당시의 모습들을 오버랩하여 맘껏 상상할 수 있는 즐거움을 준다.


아마도 이는 책 전체가 올 컬러판이라 그 이미지가 더욱 부각되었던 듯 하다. 흑백 사진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는 아무래도 생동감이 떨어지는데, 컬러로 된 역사적 유물과 유적지의 사진, 지도와 이해를 돕는 도표들은 지식의 이해를 돕는데 충분한 역할을 한다.


한국사의 역사적 흐름 순으로 엮여 있어 한국사의 전체적 흐름을 이해하는데도 좋았다. 부분부분의 시대를 통해 그 시대를 깊이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전체의 큰 그림을 먼저 그려 놓고 개개의 부분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된다. 책을 읽으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보충교재로 써도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수험서에서 아쉬웠던 부분들을 좀 더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와 이야기가 들어 있어,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의 공백을 메우는데 적절했다.


물론 이 책 한 권으로 한국사의 모든 부분을 메꾸기에는 무리다. 전체적인 흐름을 기준으로 정리한 내용이기에 세세한 부분은 빠져 있는 것이 많고, 깊은 이해를 돕기에도 무리였다. 그런 부분은 좀 더 심도 있게 해당 부분을 다룬 책으로 옮겨가야 할 듯 하다. 이 책은 어디까지나 전체 흐름 위주의, 우리 역사의 기초 베이스를 다지는 정도로 읽어두면 좋을 듯 하다.


역사란 것이 어렵게 생각하면 한 없이 어렵고, 쉽게 생각하면 또 무한정 쉽다. 나는 요즘 즐기는 대상으로 역사를 대하고 있다. 그래서였는지 이 책의 내용을 꽤 즐겁게 읽혔다.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한국사 이야기다. 우리 역사에 대해 너무 무지하다고 느끼고 있다면, 이 책을 통해 기초 체력을 길러 보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