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통 - 죽음을 보는 눈
구사카베 요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 이라는 이름의 딜레마 - 무통 _ 스토리매니악

 

알면서 저지르는 살인과 몰라서 저지르는 살인 중 어떤 죄가 더 무거울까? 언뜻 쉽게 답이 나올 것 같으면서도, 생각의 깊이를 한 번 더 거치면 답이 쉽게 나오지 않는 질문이다. 앎과 모름의 차이로 인해 같은 살인죄라도 조금의 경중이 있을 수는 있다는 대답과, 결국 결과는 살인이라는 경중을 따질 수 없는 죄라는 대답이 첨예하게 그 각을 세울 것 같다.

 

이 소설 <무통>은 이 대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고베의 고급 주택가에서 일어난 일가족 살인 사건을 시작으로, 사회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범죄의 딜레마와 법의 조항들이 가져오는 불합리성과 딜레마를 다루고 있다. 새로운 의학 스릴러라는 기대를 안고 책장을 넘겼더랬는데, 의학적 스릴러를 깊게 팠다기 보다는 사회파 미스터리의 모습을 많이 닮아 있는 모습이다.

 

이야기의 베이스에 두고 있는 일본의 한 법 조항은 이것이다. '심신상실자의 범죄는 처벌하지 않는다' 라는 일본 헌법 제39조다. 간단히 말해 심신상실의 상태(즉 정신병을 앓고 있는 상태)에서 저지른 범죄는 처벌하지 않고, 해당 범죄자를 치료한다는 것인데, 이로인해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이 받는 고통의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정확히 법 조항이 우리나라도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도 조현병 등의 정신병력을 가진 사람이나 음주 상태에서의 범죄는 그 죄를 경감하여 주거나 관대한 면이 있다. , 자신이 어쩌지 못하는 상태에서의 범죄는 정상참작을 한다는 것인데, 그 옳고 그름을 논하기가 꽤나 버겁다.

 

이 소설은 이 법 조항 자체를 가지고 논한다기 보다는, 이런 법 조항을 이용하여 심신상실의 상태인 척 하고 범행을 저질러 처벌을 받지 않는다던지, 이 법 조항을 악용하는 사례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어떻게 조장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두 천재 의사를 내세우고, 이들의 주변인물들을 등장시켜 법이 가지는 위험성이 지금의 사회를 어떻게 좀 먹고 있는지 리얼하게 그려내고 있다.

680여 페이지의 소설은 꽤나 양이 많은 편인데, 그 양 만큼이나 다양한 모습이 담겨 있었다. 긴 페이지를 지루하게 느끼지 못할 정도의 재미도 있었고, 또 많은 양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고민거리도 있었고, 등장인물들의 고뇌와 법을 둘러싼 해석의 첨예함도 있었고, 또 그만큼 소설로써 아쉬운 점도 많았다.

 

우선 긴 페이지에도 불구하고 이야기가 잘 읽힌다는 점에는 점수를 주고 싶다. 의학 미스터리 보다는 사회 문제를 다룬 미스터리에 가깝기 때문에 이야기가 조금 무거운 감도 있지만, 생명의 최일선을 다투는 현장, 어쩌면 심신상실 상태의 범죄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그들을 보게 되는 의사라는 직업을 가진 주인공들이 등장함에 따라 느껴지는 긴장감이 꽤 괜찮은 편이다. 이야기에 다양한 생각거리도 담겨 있고, 큰 문제 하나를 어떻게 작가가 풀어나가려 하는지 그 과정을 보는 것 또한 즐거움의 하나였다.

 

다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군데군데 속도감을 떨어뜨리는 인물의 내적 감정의 드러냄이나, 많은 인물들을 등장시키고 이들을 제대로 갖고 놀지 못하는 점은 꽤나 아쉽다. 특히 '하야세' 라는 형사가 헌법 39조에 큰 반발심을 갖고 이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들은 이야기의 큰 줄기 안에서 녹아들지 못하고 뭔가 겉도는 느낌이 강하다. 또 이런 하야세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너무 집착하는 듯 보여지는 부분은 저자가 소설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부분을 오히려 희석시키는 느낌도 준다.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지만, 후반에 이들이 자신의 인물로써의 무게감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지는 부분도 꽤 거슬린다. 하야세 형사의 처리 부분이나, '시라가미' 라는 또 하나의 천재 의사를 처리하는 방식, '사토미' 가 이야기의 키를 쥘듯 해놓고 흐지부지 정리되어 버리는 부분이 특히 그렇다. 뭐랄까, 재료를 열심히 펼쳐 놓는데 공을 들여놓고, 막판에 대충 거두어 들이기 바쁘다는 인상을 준다.

 

이런 부분이 이 소설에 대한 평가를 갉아 먹을 것 같기는 하지만, 사회파 미스터리가 가지는 묵직함을 나름의 접근법으로 잘 풀어냈다는 생각이 든다. 심신상실자가 진짜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벌이는 범죄, 심신상실 상태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자를 보호하기도 하고 벌을 주기도 해야 하는 법으로써의 딜레마, 이 딜레마를 보는 각각의 시선들이 부딪히며 만들어내는 이야기의 무게감이 꽤 즐거웠다.

 

심신상실자를 가운데 두고, 가해자의 입장이 될 때와 피해자의 입장이 될 때, 그 보게 되는 모습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새삼 느끼게 된다. 그런 것들이 이 사회가 안고 있는 딜레마고, 또 풀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면 갑갑함도 느낀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가진 나와 같은 마음과 결국에 명쾌하게 답을 내리지 않고 독자들의 판단에 맡기는 저자의 마음도 어쩌면 같지 싶다. 어느 쪽에 서서 보느냐에 따라 재미의 각도가 달라질 만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