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불장군 상대하기 - 집과 직장에 꼭 있는
가타다 다마미 지음, 황선종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울화통 터지는 상대를 대하는 방법 - 독불장군 상대하기 _ 스토리매니악


자신의 주위를 돌아보면,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신의 말만 하는 사람, 남의 말은 기본적으로 틀렸다 생각하고 자신의 말만 옳다고 생각하는 사람, 귀를 막고 자신의 주장만 주구장창 늘어 놓는 사람들이 한 명 정도는 꼭 있다. 내 개인적인 인간관계에서는 한 명 정도가 아니라, 그 수가 복장 터질만큼 많지만 말이다. 생각해보니 그런 사람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도 같다.


좀 올드한 단어긴 하지만, 이런 사람들을 '독불장군' 이라 불렀다. 부정적인 뉘앙스가 한껏 가미된 이 단어가 요즘의 현대인들에게 유난스레 자주 보인다. 왜일까? 이 책은 바로 그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다. 왜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지? 그런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그런 사람들을 어떻게 상대해야 하는지, 정신과 의사인 저자는 의학적 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이런 질문들에 답하고 있다.


저자는 자기중심적인 사람이 늘어나는 이유를 우리 사회이 어두운 면이 만들어낸 현상이라 진단한다. 인터넷과 SNS를 중심으로 한 자기 표현 시스템을 통해 자기 위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그런 자신을 인정받지 못하면 화를 내고 귀를 닫아 버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말이다. 또 이런 사람과 집단이 사회 내에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인간관계에서 가장 어렵다는 소통을 힘들게 하는 원인이 된다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이런 사람들이 늘어난다는데 있지 않다. 바로 그런 자기중심적인 사람들과 대면하는 사람들이 병들고 있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다.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주위 사람들에게 알게 모르게 피해를 주게 마련이다. 그것이 일과 관련된 것일 수도 있고, 개인에 주는 스트레스가 될 수도 있다. 그런 부정적인 영향이 쌓이고 쌓여 사회의 문제를 깊게 만든다. 악순환이다. 사회가 만들어낸 부정적인 사람이 그 주위를 부정적으로 물들이는 이런 현상은 분명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하는 문제다.


저자는 이런 내용들을 일목요연하면서도 쉽게 전달하고 있다. 문장을 읽어가면서 심하게 공감하게 되고, 내 주변의 독불장군들을 생각하게 하며, 그런 이들을 통해 얻었던 답답함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거기에 그런 자기중심적 사람들에 대처하는 저자의 여러 제안들을 보면서 문제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도 갖게 되었다.


무엇보다 저자의 제안들이 마음에 든다. 저자는 이론적인 부분이나 의학적인 부분에 치우쳐 착한 말만 늘어놓지 않는다.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라거나 그런 그들을 이해하려 더욱 노력하라 같은, 책에서나 존재하는 해결책은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럼 사람들의 행동을 좀체 바꾸기 쉽지 않으니, 우회적인 해결 노력을 강조한다. 그런 사람들에게 눈치를 자꾸 준다든지, 직설적으로 얘기해 의욕을 떨어뜨린다던지, 그들의 이익을 견제한다던지 하는 방법들은, 그들을 생각하기 이전에 그들에게 영향 받는 나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느껴져 현실적으로 느껴졌다.


결국은 자기중심적인 사람들가 같이 살아가는 방법들을 이 책은 전해주고 있다. 독불장군식의 사람들이 왜 그런 성향을 갖게 되었는지 면밀하게 들여다 보고, 그 핵심을 이해함으로써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기준을 잡게 해주는 것이다. 거기에 상대 중심이 아닌, 내 중심의 해결책을 통해 문제를 원만히 해결해 나가는 지혜를 볼 수 있었다.


인간관계에서의 문제는 그 어떤 문제보다 어렵다. 이런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이해와 적극성이 요구되는 법이다. 자기중심적인 사람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이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이해와 적극성을 얻어 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