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컬렉션 - 호암에서 리움까지, 삼성가의 수집과 국보 탄생기
이종선 지음 / 김영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 컬렉션, 베일을 벗다 - 리 컬렉션 _ 스토리매니악

 


무언가를 모은다는 행위는 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르는 마력을 갖고 있다. 한번 빠지면 쉽게 헤어나오기 힘들며, 수집 대상이 눈에 보이면 몸이 절로 움찔거리기까지 한다. 나도 이런 저런 수집을 잠깐씩(?) 해본 적은 있지만, 대개는 적은 돈을 들여 수집이 가능하거나 소규모의 컬렉션에 그치는 정도였다. 개인으로써 할 수 있는 수집은 나와 비슷하게 소규모와 적은 돈을 들이는 정도일텐데, 이와는 달리 전문적으로 큰 돈을 들여 컬렉션을 만들어가는 수집가도 적지 않다.

 


특히 우리 문화재, 예술품이라는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유명한 수집가들이 금방 떠오른다. 자신이 물려받은 재산을 뜻있는 곳에 쓰고 싶어 밀반출 되거나 일제에 의해 수탈된 문화재를 사들인 간송 전형필이나, 광복 직후와 6.25 동란의 혼란기에 유출, 소실되어 가는 문화재를 안타까이 여겨 우리 문화재를 지키고자 수집을 한 호림 윤장섭 선생이 대표적이다.

 


이에 못지 않게 자신이 가진 부를 이용하여 우리 문화재를 수집하고 이를 박물관을 통해 전시하고 공개한 삼성가도 빼놓을 수 없다. 삼성의 창업자인 이병철 선생이 세운 호암미술관, 그의 뒤를 이어 삼성가를 이끈 이건희 회장이 세운 리움미술관은 삼성가의 컬렉션이 이룬 결정체라 할 것이다. 이 책은 바로 호암미술관과 리움미술관을 세운 삼성가의 수집에 대한 이야기자, 박물관과 문화를 만든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전 호암미술관 부관장이자 고고학자, 미술사학자, 박물관학자인 저자가 호암미술관에서 리움으로 이어지는 삼성가의 컬렉션을 이 책을 통해 소상히 털어 놓고 있다. 20여년에 이르는 삼성가의 문화재 수집과 그 뒷이야기 그리고 호암과 리움 미술관의 설립에 대한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지는데, 호암과 리움의 소장품들이 대단하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그 문화재가 어떻게 수집되고 이를 박물관으로 이어지 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었다. 일반인들이 궁금해했던 그런 이야기들을, 삼성가의 수집을 진두지휘했던 사람으로써 소상히 풀어놓고 있다.

 


저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여러 부분에서 놀랐는데, 우선 호암과 리움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의 규모에 대해 놀랐다. 그 소장의 수도 수지만, 국보급 문화재 및 예술품을 이렇게 많이 소장하고 있는지는 미쳐 몰랐다. 국보 1백점 프로젝트를 통해 국보급 문화재를 모으고 이를 보존하겠다는 삼성가의 열정이 어떻게 박물관이라는 결실로 이어졌는지 그 내막과 과정을 알 수 있어 정말 즐겁기 그지 없었다. 보통 수집에 대한 이야기는 수집품 자체도 자체지만, 그 뒤에 숨은 수집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맛나는 법인데, 저자는 바로 그 맛있는 부분을 잘 정리해 들려준다.

 


수집에 대한 삼성가의 이야기는 물론이고, 리 컬렉션이라 불리는 그들의 수집품 중에서도 걸작이라 할 만한 예술품들을 소개하는 지면도 꽤 되는데, 그 문화재를 만나는 즐거움과 그 문화재의 가치를 다시 알게된 즐거움이 컸다. 저자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을 통해 소개도 하고 그 문화재의 중요성과 지닌 가치에 대해 설명할 때면, 한 나라의 역사를 지닌 문화재가 왜 소중한 것인지를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박물관과 문화재에 숨겨진 문화사는 그 내용을 접해보지 않으면 진면목을 알 수 없다. 저자가 이 책에 담은 우리 문화재에 대한 이야기는 단지 한 부자 가문의 수집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문화재를 사랑한 사람들의, 학자들의 열정에 대한 이야기였다. 하나의 수집품이 역사가 되어가고, 우리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설명해주는 가치재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며, 수집이라는 것이 가져다 주는 기쁨과 더불어 알수 없는 뜨거움이 일어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