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커가 사는 집
김상현 외 지음, 전홍식 옮김, SF&판타지 도서관 / 작은책방(해든아침)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상과 과학의 세계 - 조커가 사는 집 _ 스토리매니악


소설이라는 장르는 상상력의 세계다. 분류되는 세부 장르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작가의 상상력이 관여하는 세계다. 허구와 현실을 넘나드는 상상력의 깊이가 특히 중요한 장르가 있는데, 바로 공상과학소설이라 불리는 SF 소설이다. 장르의 이름에도 나타나 있듯, 원어는 과학 소설을 말하지만 통칭하여 과학적 내용과 공상적 줄거리가 있는 소설을 나타낸다. 그만큼 작가가 상상력을 발휘하여 구축해야 하는 세계가 중요한 장르다.


보통 SF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미래의 고도로 발달한 과학문명이 존재하는 세계다. 때로는 우주가 배경이 되기도 하고 외계인이 등장하기도 하고, 가상현실의 공간에 지배당하는 지구를 그리기도 한다. 이런 이미지는 꽤 굳어진 것이어서 SF 하면 으레 스펙터클한 세계를 생각하기 마련이다.


이런 생각을 조금은 깨야 할 듯 싶다. 이 책 SF 소설 단편집 <조커가 사는 집>은 큰 볼륨을 가진 상상력의 세계를 그리기 보다는, 우리와 친숙한 공간에 더 가깝다. 마치 지금의 현대인이 사는 공간에 가상현실 혹은 발달한 과학을 살짝 떨어뜨린 느낌이다. 현재의 우리 삶의 모습과 다를 바 없어 보이지만, 그 세세한 부분은 고도의 과학기술이 침범한 상태, 혹은 암울한 디스토피아적 색채를 드리운 모습이다.


나는 국내 작가들의 SF 소설을 볼 대, 두 가지를 중점적으로 본다. 하나는 이야기의 구성력이고, 다른 하나는 세계를 그리는 상상력이다. 아무래도 SF 소설 장르가 발달한 외국과는 달리, 국내의 협소한 SF 시장에서 활동하는 국내 작가들은 이 두 가지가 아쉬운 경우가 많다. 이야기에 몰입하게 만드는 구성력이 약하거나, 작가가 그리는 상상력의 깊이가 너무 얕은 경우, 이 두 경우 모두 이야기에 흥미를 떨어뜨리고 아쉬움을 갖게 만드는 요소다.


상상력의 세계를 볼륨있게 그리지 못하고 살짝 가상현실만 믹스한 느낌의 소설, 물 흐르듯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만 되어 있는 듯한 느낌의 소설도 있었다. 말하고자 하는 소재와 주제의 기발함은 있으나, 구성력과 상상력이 부족한 경우였다.


하지만, 어떤 소설들은 그 깊이는 다를지 모르나 이 둘을 잡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아, 이런 느낌으로 SF 소설이 만들어질 수도 있구나' 하는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소설이었다. 현재의 세계를 살짝 비틀거나, 상상의 공간을 한정해 놓아도 충분히 구성력과 상상력을 잡을 수 있는 소설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을 확실히 어필해 주었다.


인상적인 점은 이러한 점을 가진 소설을 이 소설집에서 꽤 발견했다는 점이다. 각기 색채도 다르고 다루고 있는 소재나 주제도 다른 이야기들이라, 지루하지 않게 하나하나 맛 보는 재미가 있었다. SF 소설은 호흡이 길고 볼륨이 큰 장편소설도 좋지만, 이야기가 함축되어 있는 단편도 상당히 좋다. 개인적으로 후자를 더 선호하는 편인데, 이 소설집에 실린 것처럼 다양함이 존재하는 소설집을 더 찾아 읽어보고 싶어진다.


이 소설집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더 많은 소설집으로 우리 작가들의 SF 소설을 만나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 아기자기한 맛이 있는 국내 작가들의 SF 소설로 더 다양한 SF 세계를 맛 보고 싶은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