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전에 한 번은 동양고전에 미쳐라 : 지식 - 다시 시작하는 동양고전의 인문학개론 지식(知識) 지식을 베끼는 인문학 클래식
이현성 지음 / 스마트북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동양고전에서 얻는 삶의 지식 - 죽기 전에 한 번은 동양고전에 미쳐라 : 지식 _ 스토리매니악

 

고전의 힘에 주목하는 시대다. 특히 요즘 같이 인간의 삶을 관통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에는 더 그렇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전에 주목하고, 고전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를 얻으려 노력한다.

 

많은 고전 중에서 어떤 고전들에 주목해야 하는가는 이제 또 다른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개개인의 삶에, 또는 사회에 부족한 부분에 맞는 고전을 찾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더해 이제는 동양고전(동양고전이라 칭했지만, 사실 동양고전은 중국고전이라 치환해도 무리가 없다)에 더욱 주목해야 하는 때가 아닌가 싶다. 이는 지금 우리 사회의 문제점들과 맞닿아 있다.

 

심심찮게 들려 오는 리더십의 부재라는 말, 진정한 지도자가 없다는 말, 이런 말들이 들려 올 때마다, 동양고전에 담긴 지혜를 빌려야 함을 더 절실히 느끼게 된다. 이는 이 책의 저자가 서두에 밝혀 놓은 부분과 일맥상통한다. 저자는 원래 중국 고전들은 지도자층을 대상으로 쓴 글이라는 점을 명확히 밝힌다. , 사회의 지도층이 읽고, 진정한 지도자의 인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는 책이라는 것이다. 이는 지금 우리 사회에 부족한 지도자, 진정한 리더십을 갖춘 리더를 양성하는데 더 없이 적절한 텍스트라 하겠다.

 

저자는 이런 점에 주목하여 동양고전을 이야기한다. 관중의 지혜를 담은 <관자>부터 시작하여, <한비자> <정관정요> <손자> <사기> 등 중국의 고전 15권의 이야기를 담았다. 지도자론에 초점을 맞춘 이 책들에서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지혜와 지식이 무엇인지, 찾아내고 정리한 것이다.

 

저자는 '정치와 처세', '병법과 지도자', '역사서에서 얻는 가치' 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이 15권의 고전을 분류하고, 이들의 내용을 정리했다. 제왕으로써 재상으로써 또 장수로써 그들이 어떤 지략을 가지고 세상을 호령했으며, 나름의 이상들을 펼쳤는지, 또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어떻게 가능했고, 무엇이 우리가 곱씹어 볼 만한지를, 하나하나 짚어내고 있다.

 

이런 이야기들을 보면,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많은 교훈을 얻게 된다. 때로는 세상을 사는 처세술로도, 또는 세상을 값지게 살아가는 지혜로 읽히는 이러한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부족한 면이 무엇인지 따끔하게 일러줌과 동시에, 그런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채우면 되는지 또한 알려준다.

 

그 내용 자체는 나무랄 데가 없지만, 이를 이야기하는 방식 자체는 다른 책들과 비슷한 편이다. 책의 내용을 소개하고, 책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며, 그 안에서 얻을 수 있는 지혜를 말하는 방식이다. 조금 더 저자만의 관점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그런 이야기들을 소개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