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글쓰기 - 공지영, 정유정, 정이현 외 11명 대표작가 창작코멘터리
이명랑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창작에 대한 싱싱한 조언, 작가에게 듣다 - 작가의 글쓰기 _ 스토리매니악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하는 생각이 있다. 바로 그 소설을 쓴 작가를 만나고 싶다는 생각 말이다. 단지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닌, 소설 창작에 대한 생각까지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열망은 더 하다. 단순히 자신이 좋아하는 소설을 쓴 작가를 만난다는 즐거움뿐 아니라, 소설 창작에 대한 다양한 질문의 욕구 또한 상당하기 때문이다.

 

작가를 만나면 제일 먼저 하고 싶은 질문이 무엇일까? 바로 '이런 소설을 어떻게 쓰나요?' 정도 되지 않을까? 나 또한 소설을 읽다 이런 질문을 생각하는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이 소설은 어떻게 소재를 잡았을까? 어떻게 구성을 했을까? 인물은 어떻게 설정하고 사건은 어떻게 배치했을까? 대체 어떻게 해야 이런 소설을 쓸 수 있을까?' 등등 소설을 쓰는 것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이 떠오른다. 정말 작가를 만난다면 꼭 물어보고 싶은 질문들이기도 하다.

 

이 책 <작가의 글쓰기>는 이런 질문들에 답을 줄 수 있다. 우리가 작가를 만나면 꼭 물어보고 싶었던, 소설 창작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을 던지고, 소설을 쓴 작가가 이 질문에 대답해 준다. 질문과 대답의 인터뷰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읽기도 쉽고 내용을 이해하기도 편하다. 정제된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작가의 솔직한 대답을 듣다 보니, 궁금했던 부분을 시원히 해소된다.

 

책에 실린 인터뷰 작가는 모두 11명인데, 모두 소설이라는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작가들이다. 비교적 근래에 출간 된 작품을 쓴 작가들이라, 이름만 들어도 그 작가와 대표작을 떠올릴 수 있다. 그런 작가들과 그들의 소설이기에 더 이야기에 관심이 간 것도 사실이다.

 

이 작가들의 소설을 묶어 놓은 구성을 보면 이 책의 초점을 잘 알 수 있다. 책은 크게 공간, 인물, 사건이라는 큰 챕터로 묶여 있는데, 이는 소설 쓰기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하다. 좀 더 소설 창작에 쉽게 다가가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 책의 작가는 공간, 인물, 사건을 내세우고, 이 각각의 요소가 중심이 되는 작품들을 선정했다. 그리고 그 작품의 작가들을 만나 소설을 쓴 과정과 각각의 요소를 어떻게 구성하고 이야기를 만들어 나갔는지, 그 방법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것이다.

 

인터뷰 형식이기는 하지만, 이 책을 소설 창작론을 알려주는 책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생각 된다. 작품을 쓴 작가가 자신이 어떻게 소설을 썼는지를 이야기하고, 각자의 노하우와 이야기를 쓰는 소설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것이, 웬만한 창작론을 다룬 책보다 배울 것이 많다. 소설 쓰기에 대한 실제적인 창작에 대한 멘토링이라 불러도 좋겠다. 하나하나 소설 쓰기를 알려주는 것은 아니지만, '소설 창작이란 이런 것이다' 하는 것을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우리가 작가를 만나 듣고 싶어 했던 이야기들이 충실히 담겨 있다. 소설 창작과정에서 맞닥뜨렸던 어려움들이나 궁금했던 세세한 부분들에 대한 현명한 답을 이 책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특히 소설 작가를 지망하는 이들이라면, 한 번쯤 현역 작가들의 창작 세계를 들여다 보는 것만으로도 큰 공부가 될 거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