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써라 - 당신의 메시지 전달력을 극대화하는 논리적 글쓰기의 힘
유세환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결론부터 이야기하는 논리적 글쓰기 - 결론부터 써라 _ 스토리매니악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제대론 된 '글쓰기' 를 원한다. 이제는 내키든 내키지 않든 어쨌거나 글쓰기를 잘 해야 하는 것이다. 학교에서나 직장에서 또, 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다양한 글쓰기를 요구 받는다. 하지만, 글쓰기라는 것이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그냥 쓰면 되지 뭐가 어렵나 싶을 수도 있지만, 요구 받는 글쓰기는 쓰고 내가 읽고 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읽기 위해 쓰는 글이기에, 또 그 글로 나름의 평가를 받는 것이기에, 글쓰기에 대한 수준이 요구 되고 상대가 납득할 수 있는 글의 수준이 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는 어떻게 쓰는 것이 잘 쓰는 글쓰기인가를 고민한다. 좀 더 나은 수준의 글쓰기를 통해 상대를 설득하고, 그 글에서 결과를 얻기 원한다. 좀 더 논리적인 글쓰기를 통해 논리적인 설득을 하거나, 좀 더 명확한 결론을 통해 상대의 반응을 유도하는, 제대로 된 글쓰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다양한 글쓰기 방법론이 있지만. 이 책의 저자가 이야기하는 글쓰기 방법론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해온 방식과는 조금의 차이가 있다.바로 결론부터 쓰는 글쓰기다. 보통의 글쓰기가 결론이 이야기 끝에 가 있는 것에 비해. 저자가 말하는 방식은 글의 첫머리에 잠정적인 결론과 그 이유를 쓰고, 이를 통해 글쓰기를 이어나가는 방식이다.

 

저자는 이를 통해 논리적인 글쓰기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잠정적인 결론부터 쓰기 때문에 자료나 기존의 견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만의 아이디어에 충실해 글을 쓸 수 있고, 어떤 대단한 결론을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 잡혀 글쓰기를 끝없이 미루게 되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 결론을 서두에 언급하기 때문에, 이 결론을 중심으로 그 아래의 글이 이어지고, 이는 일관된 결론을 뒷받침 하기 때문에 그만큼 글에 짜임새가 있다는 말이다. , 결론이 이미 언급되었기에. 뭔가 더 나은 결론을 쓰기 위해 앞의 내용을 고민하는 악습을 고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는 빙 둘러 결론으로 가는 우리의 동양적 사고에서 벗어나. 직접적으로 결론부터 치고 들어가는 서양식 사고 방식에 가까운 글쓰기라 할 수 있다.

 

저자도 이를 명확히 한다. 이러한 결론부터 쓰는 글쓰기 방식은 '영미식 5문단 에세이'에 근거를 두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저자가 대학에 들어가 처음 접한 이 방식을 근거에 두고, 이 방식이 왜 좋은가에 대한 이야기를 쭈욱 이어가고 있다.

 

결론부터 쓰는 글쓰기에 대한 저자의 일관된 견해가 좋다. 책의 서두에 이 방식에 대한 설명을 언급하고, 이 방식이 왜 좋은 것인지, 이 방식이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뒤이어 언급한다. , 하나의 결론을 앞에 두고, 뒤에 그 결론을 뒷받침하는 주장들을 써서 그 결론을 견고히 하는 방식이다. 이는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하나의 챕터마다 그리고 이 책을 통틀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결론부터 쓰는 글쓰기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잘 알 수 있는 구성이다.

 

책에서 말하는 저자의 글쓰기 방식이 모든 글쓰기에 유용한 것은 아니다. 저자의 방식은 특히 비즈니스 세계나 학교에서의 글쓰기에 유용해 보인다. 각종 보고서나 문서를 만들 일이 많은 직장에서 논리적으로 상대에게 요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저자의 방식이 너무나 적절해 보인다. 또 학교에서의 논술이나 에세이 등에도 이 방식이 적절하다.

 

논리적으로 상대를 설득해야 하는 방식에는 결론부터 쓰는 방식이 참 적절해 보이고, 이를 통해 부가적인 효과 또한 획득할 수 있다. 저자는 이를 논리적 사고력 증진과,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일부는 지나친 일반화가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논리적인 글에서 파생되는 효과로 보기에 무리는 없어 보인다.

 

자신의 글이 상대를 설득하지 못해 고민하고 있거나, 좀 더 논리적으로 보여지는 글쓰기를 원하는 이들에게는, 이 책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방법론에 있어서도 충실하고, 이 글쓰기 방법론이 어떻게 쓰여지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공부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