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비채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7
무라카미 하루키.오자와 세이지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예술가와 함께 음악을 만나다 - 오자와 세이지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_ 스토리매니악


<무라카미 하루키>가 음악 애호가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재즈와 클래식에 조예가 깊다. 그의 소설을 보면 다양한 재즈 음악과 클래식 음악이 등장하고는 한다. 그래서 그의 글이 마치 음악 같다는 사람도 많다. , 에세이 등의 글을 통해 자신의 음악 사랑을 자주 드러내고는 했는데, 아주 본격적으로 음악 이야기만을 하는 책이 나왔다.

 

이 책은 일본을 대표하는 두 예술 거장의 만남으로 관심을 모았다.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와 일본 문학계의 대표주자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들이다. 각기 음악과 문학을 대표하는 예술 거장이 만나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을지 궁금했다.

 

이 만남은 평소에 친분이 있던 두 사람이, 오자와 세이지가 건강 문제로 쉬게 된 차에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나 발전했다고 한다. 서로 만나 음악을 함께 듣고, 클래식 음악에 대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대화를 나눈 것들을 정리한 것이 이 책이다

 

명곡으로 불리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이야기, 오자와 세이지가 지휘했던 오케스트라에 대한 이야기, 그에 얽힌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등, 음악을 중심으로 한 여러 이야기들이 이어진다. 오자와 세이지의 지휘 인생을 짚어 보며, 클래식 음악이 갖고 있는 매력과 그 매력이 어떤 과정을 통해 보여지는가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가 오간다.

 

생각보다 상당히 깊은 이야기들이다클래식 음악이나 지휘에 대한 이야기, 오케스트라와 다양한 연주 이야기 등은 기본적인 음악 지식이 없다면 꽤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 , 음악을 대하는 자세나 음악 자체를 해석하는 문제 등, 그 분야에 이해가 어느 정도 있어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나 같은 음악 문외한은 꽤 고역인 부분도 있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예술을 탐하는 예술가의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세세한 음악 용어를 몰라도, 그들의 연주 기법 지휘 기법을 모르더라도,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도 충분히 그들이 말하는 이야기를 느낌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술가가 예술을 대하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세부적인 이해가 부족해도 충분히 느낌으로써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전문가로써의 음악 예술, 애호가로써의 음악 예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일년에 걸친 특별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말하는 이야기를 통해 하나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책 내용 중에 하루키씨가 밝힌 내용이기도 한데, 음악과 글에는 공통점이 있다는 부분이다. 하루키씨의 이야기를 빌면 글에도 리듬이란 것이 있다.이는 음악의 리듬과 상당히 닮아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글에 음악이 흐르는 듯 느끼는 것은 그의 음악적 소양이 반영된 결과다. 이야기에 담겨 있는 리듬을 통해 음악을 듣는 듯한 쾌감을 느끼는 것이다. 음악과 글에는 공통점이 있고, 글에는 리듬이 있어야 한다는 그의 말에 큰 공감을 느낀다. 읽는 사람도 그 리듬감을 느낄 수 있어야 더 재미 있게 느낄 수 있고, 이야기에 빠져들 수 있다

 

음악과 새로운 만남을 한 듯한 기분이다. 내가 모르는 부분이었기에 더 신선했던 면도 있다. 글과 음악이 가진, 두 예술 분야가 어떻게 하나의 예술로 이해되는지도 알게 된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