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는 어디에서 오는가 - 진화하는 경제생태계에서 찾은 진짜 부의 기원
에릭 바인하커 지음, 안현실.정성철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부'를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 부는 어디에서 오는가 _ 스토리매니악


격변하는 경제 현실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는 거대한 소용돌이다. 시시각각 변화를 거듭하며 예상을 할 수 없는, 그야말로 격변하고 있다어제의 경제 현실이 오늘에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경제 현실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은 몰락하고, 이 격변의 시류에 맞추어 변화한 기업은 급성장 하기도 한다. 경제하는 시스템에 딱 붙어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그야말로 악몽과도 같을 것이다.

 

경제 이론의 한계

 

많은 이들이 이런 상황에서 경제 이론에 기대어 보려 한다. 경제 이론을 통해 예측을 하고, 자신들의 변화를 모색하려 한다. 하지만, 다수의 기업들이 한계에 부딪혔다. 경제 이론은 늘 균형을 지향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기존의 경제 이론들은 현재의 불안정한 경제 현실을 설명하지 못한다. 기존의 경제 이론들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에 공감할 것이다.

 

이러한 전통 경제학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많았다. 게임이론이나, 행동경제학, 진화경제학 같은 모델들이 등장하였고, 학계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이런 경제학 모델은 부분부분 기존의 경제학 이론을 대체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편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아직도 큰 틀에서는 전통 경제학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는 기존의 경제학을 대체할만한 전체적인 경제모델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 이 시점에서 우리는 기존의 경제학 이론을 대체할 새로운 패러다임의 경제학 이론을 필요로 한다. 이 책은 바로 그 새로운 경제학 이론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키워드, '복잡성'과 '진화'

 

불안정성, 불확실성은 현재의 경제를 이야기하는 단골 단어다. 저자는 이러한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경제의 변화 양상을 설명할 단어로'복잡성' '진화'를 이야기한다. 사실 복잡성과 진화는 자연과학의 개념이다. 저자는 이 자연과학의 개념을 경제학에 접목하여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으로 대변되는 경제를 일종의 생태계로 정의한다. 저자는 기존 전통 경제학의 오류들이 현재의 격변하는 경제 환경에 얼마나 맞지 않는지를 증명해내고, 기존 경제학 이론에 반기를 드는 여러 경제이론들을 정리하여 일종의 생태계와도 같은 경제 환경을 설명할 수 있는 독자적 경제이론체계를 확립하고 있다.

 

, 저자는 부를 창출하기 위한 총체적인 비전도 제시한다. 부의 개념을 새로이 함과 동시에 그 기원을 진화의 원리에서 찾고 있다. 저자는 복잡계 경제학에서는 다양성과 변화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렇게 구성원들의 변화가 쌓이면서 경제 시스템은 진화하고 이에 따라 부가 급증한다는 논리다. 이 부분을 보면서 저자가 제시하는 복잡계와 진화라는 키워드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느낄 수 있었다. 틀에 갇힌 경제학이 아닌, 틀을 깨고 끊임 없이 진화하는 생태계로서의 경제학을 새로이 인식하게 된다.

 

새로운 경제학의 패러다임 속으로

 

저자가 말하는 복잡성과 진화를 바탕으로 하는 경제학 패러다임은 분명 현재의 경제학을 잘 설명해 주는 듯 하다. 물론 학술적으로 기존의 경제학을 완전히 대체한다거나 주류라고 하기엔 이른 감이 있겠지만, 활발한 연구를 통해 그가 말하는 새로운 경제학의 패러다임이 경제학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은 확실한 것 같다.

 

이 책은 저자가 말하는 이론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실려 있다. 분명 이제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기존의 경제학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일전에 TV 에서 복잡계와 관련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는데, 이것이 경제학에 이렇게 적용되는구나 싶어 흥미롭게 읽었다. 내가 알기로 이 책은 '부의 기원'이란 제목으로 기 출간 되었던 것으로 안다. 이번에 개정판으로 출간된 것인데, 기존의 책을 읽어 보지 못해 잘은 모르겠으나, 이 책은 경제학에 대해 이야기는 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읽기가 어렵지는 않다. 물론 이론적으로 들어가 하나하나 이해하려면 당연히 어렵지만, 새로운 시각을 기른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가볍게 읽어나가며 이해하기 좋다. 이 책을 통해 기존의 경제학에 큰 파문을 일으킨 새로운 경제 이론이 어떤 것인지 만나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