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스티브 잡스를 이렇게 뽑았다 - 스티브 잡스의 유일한 상사, 아타리의 창업자에게 직접 듣는 괴짜 인재 경영법
놀란 부쉬넬 & 진 스톤 지음, 한상임 옮김, 한근태 감수 / 미래의창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이 진짜 인재 경영법이다! - 나는 스티브 잡스를 이렇게 뽑았다 _ 스토리매니악

 

'스티브 잡스'가 현대에 미친 영향은 막대하다. 기술산업뿐만 아니라, 혁신, 인재경영,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주었고, 그의 사후에도 그 영향력은 줄지 않고 있다. 그가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의 본질은 바로 창의성에 있다. 창의성의 발견과 이를 최선으로 사용했을 때 어떤 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이가 바로 스티브 잡스다.

 

우리는 스티브 잡스를 찾고 있다. 아니, 그의 반의반의반의반의반의 반만이라도 되는 인재를 찾으려 한다. 불확실성의 사회에서 스티브 잡스 같은 창의적 인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인재 시장은 빈약하기 그지 없다. 창의성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거나, 말로만 창의성을 부르짖거나, 창의성이 왜 필요한지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인재까지 있다. 창의성 하나가 인재를 가늠하는 유일한 잣대가 될 수는 없겠지만, 창의성을 우선으로 두고 인재를 찾는 이들에게는 답답한 노릇이다.

 

그런 이들이 있다면, 이 책을 읽어 보라고 강력히 추천한다. 이 책에는 바로 여러분이 원하는 인재, 바로 창의적 인재를 찾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스티브 잡스의 유일한 상사라는 게임 회사 아타리의 창업자 '놀란 부쉬넬'이 제대로 된 인재 경영법을 말하고 있다저자는 스티브 잡스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그를 채용하였다. 그에게 마음껏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그의 창조성을 펼칠 수 있게 도왔다. 그는 왜 그렇게 했고, 어떻게 그렇게 했을까? 이 책에 그 답이 나와 있다

 

저자는 우선 창조적 인재를 알아 보는 방법에 대해 말한다. 꽤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그 내용들을 하나하나 읽으며 참 놀랐다. 그의 인재를 뽑는 기발한 아이디어는 신선했다. 제대로 된 인재와 그렇지 않은 인재를 구별하는 기준도 감탄스럽다. 인재를 두고 이렇게 다양한 생각을 하고, 자신의 회사에 필요한 인재를 뽑기 위해 노력을 한다는 사실이 존경스러웠다. 보통 우리는 인재를 편하게만, 혹은 획일적인 기준에서만 뽑으려는 경향이 있는데, 저자는 그것이 얼마나 바보 같은 생각인지를 잘 보여준다.

 

굳이 이렇게 다양한 방법들을 써가면서까지, 노력을 들이면서까지 인재 선발을 위해 노력 해야 하나 싶기도 하다. ,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갖고 있는 기업의 사람이라면, 우리 회사 정도면 창의적 인재는 알아서 오리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저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진짜 인재를 위해서라면 그런 생각부터 버려야 함을 깨달을 수 있다.

 

인재를 찾는다고 끝나지 않는다. 아무리 훌륭한 창의적 인재라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 저자는 이를 위해 창의성 가득한 인재와 함께 커나가는 방법을 일러준다. 솔직히 인재를 찾는 방법에 대한 내용에도 놀랐지만, 그들과 같이 성장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 부분에서는 더 놀랐다. 인재는 그들이 갖고 있는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 그 능력을 최대로 발휘한다. 저자는 이를 위해 많은 것을 주문한다. 우리가 갖고 있는 선입견을 버려야 함도 말하고, 위험과 실패를 감수해야 함도 이야기한다. 작은 보상을 주는 방법은 물론이고 이를 통해 그들에게 행복한 회사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방법들도 말하고 있다.

 

, 인재란 것이, 찾아 내기도 어렵지만, 유지하고 활용하기도 어려움을 새삼 느낀다. 하지만, 그 모든 노력이 성공이라는 큰 열매를 향해가는 과정임을 생각한다면, 저자의 이야기는 너무나 유용한 이정표임을 알게 된다. 지금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창의적 인재, 제대로 된 인재를 찾지 못하거나, 그런 인재들이 있어도 그들의 창의성을 죽이는 기업문화를 만들고 있다. 그러면서 어려운 현실에 투덜대기만 한다. 이런 이들은 더욱 이 책의 내용을 보아야 한다. 그 어려움의 늪에서 빠져나올 해법을 제시하고 있으니 말이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2200035157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