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집짓기 - 마흔 넘은 딸과 예순 넘은 엄마의 난생처음 인문학적 집짓기
한귀은 지음 / 한빛비즈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기억으로 인식하고 과거로 유지하며 사랑으로 느끼다 - 엄마와 집짓기 _ 스토리매니악

 

난 집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어릴 적부터 편안함을 대변해주는 공간으로 모든 아픔으로부터 날 지켜주는 공간으로 집은 내게 중요한 존재였다. 커서도 이는 변하지 않았다. 남들은 자동차를 통해 욕구를 채우고 장신구로 행복을 얻는다고 하지만, 난 나만의 공간으로서의 지친 심신을 감싸주는 공간으로서의 집에 여전히 집착한다.

 

내가 ''이라는 공간에 유독 관심이 많은 이유는 집과 현재를 같이 생각하기 때문이다. 난 집은 현재를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나,현재의 경제적 수준, 현재의 행복이 다 집을 통해 드러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집이 곧 현재라는 등식에 조금은 수정을 가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통해 집은 '' 또한 포함하고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평범한 엄마와 인문학자이자 교육자인 저자가 함께 집을 짓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느 정도의 경제적 수준이 되는 사람이 자신의 엄마를 위해 또는 자신의 주거를 위해 집을 짓는 과정에 무슨 특별함이 있을까 싶었다. 엄마를 위해 집을 짓는 과정을 자신과 엄마라는 관계를 통해 재미있게 풀어낸 책 정도로 생각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단순함을 넘어 선 그 무언가가 이 책에는 들어 있다.

 

저자는 엄마와 집이라는 공간을 지으며 '기억'이라는 삶의 연료를 찾아냈다. 저자는 새로 집 짓는 과정을 기억을 리모델링하는 것이라 표현하고 있다. 집짓기를 통해 기억을 더듬고 재구성하고 이를 새롭게 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자신이 살고 싶은 공간을 위해 자신이 원하는 바를 끄집어 내고, 이를 잊고 있던 자신의 소망 혹은 희망들과 연결하면서 애써 억누르고 살았던 자신의 내면 깊은 곳을 탐험한다. 그 과정을 통해 집엔 튼튼한 뼈대가 세워지고 생기를 얻는다. 흐릿해진 삶의 불씨에 기억이라는 화력 강한 연료를 찾아내 그 불씨를 키워내는 것만 같은 과정이었다.

 

저자는 또한 집의 각 영역들을 과거와 사랑으로 연결 짓기도 한다. '새 것'이라는 것은 그 안에 '옛 것'을 지니고 있지 않다. 때문에 새롭기는 하지만 뭔가 차갑고 허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저자는 이런 공간에 과거를 끌어와 그 안을 채운다. 엄마와의 추억들, 엄마의 추억들, 자신의 추억들, 소중히 간직하고 있던 과거의 삶들을 온기 없는 '새 것'에 채워 따뜻한 '새 것'으로 탈바꿈 시킨다. 마치 집 밖에서 찬 바람 맞으며 뛰어 놀다, 집으로 들어와 엄마의 품에 안 겼을 때처럼, 따스한 온기가 집 곳곳에 스며드는 느낌을 받는다.

 

끝은 결국 사랑이다. 저자가 엄마와 집을 짓는 이유, 왜 엄마와의 집 짓기인가를 저자의 문장 마다마다, 그리고 이야기의 끝에서 느낄 수 있다. 삶은 결국 기억으로 불을 지피고 과거를 통해 온기를 유지하며 사랑으로 느끼는 것이 아닐까 싶다. 저자가 엄마와 집을 지으며 보여주는 한 순간 한 순간이, 엄마와의 관계를 통해 아이와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이,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삶을 다시 보게 되는 계기들이 바로 그 증명 아닐까 생각한다.

 

가슴 한 구석에서 성냥의 작은 불꽃을 피운 느낌이다. 저자가 엄마와 그랬듯, 나도 나의 부모님과 함께 그 작은 불꽃에 커다란 온기를 불어 넣고 싶어진다. 저자가 그 계기를 집 짓기로 만들었듯, 내게도 나만의 집 짓기라는 계기를 만들고 싶어진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204863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