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혜영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불완전한 인간이 지닌 모성을 해부하다 - 모성 _ 스토리매니악

 

가족이 낯설 때가 있다. 그 누구보다 가까워야 하고, 그 어떤 경우에도 멀리 할 수 없는 관계가 가족인데도 말이다. '가족'이라는 단어로 묶인 관계가 이처럼 낯설게 느껴지기도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만으로도 불경스런 죄를 짓는 것 같은 이런 본능이 과연 언제나 옳다고 할 수 있을지, 가끔 궁금해질 때도 있다.

 

'고백'이라는 소설로 일본과 한국에서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작가 '미나토 가나에'도 이와 비슷한 질문을 던진다. 세상에서 둘도 없이 가까워야 할 사이인 '엄마와 딸', 이 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작가는 '모성은 정말 본능인가?'라는 자극적인 질문을 던진다. 듣는 이로서는 흠칫할 수 밖에 없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저자는 소설의 주인공 '엄마' ''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한 여고생의 자살기도 기사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엄마와 딸의 시점에서 보는 여러 회상들을 거치며 전개된다. 엄마의 고백과 딸의 회상, 이 둘이 엇갈려 교차하며 사건의 진실에 한걸음씩 다가가고, 그 사건을 구체화 시킨다.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전면에 드러나는 갈등은 점점 충격적으로 변해간다. 자신의 어머니를 지나치게 사랑하지만 딸에게는 애정을 못 느끼는 엄마, 그런 엄마에게 끊임없이 사랑의 갈증을 느끼는 딸, 그 서로의 속마음이 부딪히고 왜곡되어 심지어는 천륜을 벗어나려는 위태위태한 순간까지 다다랐을 때에는, 저자가 말하려는 그 본의가 무섭게 느껴질 정도다.

 

흔히 '모성'을 위대하다 말하고, 그 무엇에도 비견할 수 없는 본능이라 칭하는데, 이 작품에 등장하는 모녀의 관계는 우리가 그리고 있던 그러한 이미지를 단숨에 깨버린다. 두 인물이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을 맞받았을 때에는 모녀의 정은 커녕 일종의 증오마저 느껴진다. 이 과정이 더해지고 더해져 파국으로 치닫는 한 가정의 모습은 단지 소설이라 치부해 버릴 수 없는 묵직한 메시지가 있다.

 

어쩌면 사회라는 틀 속에서 억압받고 있는 또 하나의 편견이 '모성'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적 규범에 따라, 암묵적인 고정관념에 의해, 너무 일면만을 보고 있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모든 엄마가 혹은 딸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본능이라는 말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모녀 관계도 분명히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이런 시사점을 일종의 미스터리라는 틀에 끼웠는데, 살짝 아쉬운 감도 있다. 엄마가 딸을 바라보는 심정, 딸이 엄마를 바라보는 심정이 번갈아 등장하며, 모성이라는 단어의 다른 면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이 주는 미스터리적 재미는 떨어지는 편이다. 무엇보다 서로의 감정이 어쩌면 오해로, 또는 부족한 감정의 교류로도 비칠 수 있다는 점이 크다고 본다. 그것 때문에 결론에 가서 두 모녀 사이에 있었던 감정의 골의 진실이 드러나는 반전의 쾌감이 좀 아쉽지 않았나 싶다.

 

그래도, 저자가 건드려준 모성이라는 본능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의 울림은 상당히 크다. 엄마의 고백을 통해, 딸의 회상을 통해 그 실체를 또렷이 그려본 느낌이다. 그렇게 생생한 본능의 실체를 느껴보고 난 후의 저자의 결론은 너무나 명징하게 다가온다. '시간은 흐른다. 흐리기 때문에 엄마를 향한 마음도 변한다. 그럼에도 사랑을 애타게 원하는 존재가 딸이고, 자기가 애타게 원하던 사랑을 자기 자식에게 주려는 마음이 모성이란 것 아닐까.'. 저자는 자신이 던진 도발적인 질문에 대해 나름의 답을 내놓으면서, 이 소설을 또 하나의 수작으로 만들어 놓았다.

 

Go - http://blog.naver.com/storymaniac/401969084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