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터 인 액션 - 안드로이드와 iOS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개발하는 완벽 가이드
에릭 윈드밀 지음, 우정은 옮김 / 한빛미디어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상 독자]

- 크로스 플랫폼으로 앱을 개발하려는 앱 개발자


[서평]

크로스 플랫폼은 리액트 네이티브로 대부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도전 장을 던진 구글의 플러터 이다. iOS, 안드로이드 네이티브로 개발하는 것이 좋지만 두가지의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개발 인력 및 유지보수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앱 전문 회사가 아니면 크로스 플랫폼으로 앱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플러터는 나온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구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크로스 플랫폼 영역에 조금씩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의 앱 개발이 리액터 네이티브에서 플로터로 점차 많이 넘어 올것이라 생각이 든다. 리액터의 가장 큰 장점은 많은 서드파티의 라이브러리의 지원이다. 이것은 독이든 성배로 개발시간을 단축시켜 주지만 버그라든지 버전 호환성등으로 문제를 일으키면 정말 난감해진다. 플로터는 구글에서 전폭적으로 지원으로 그런점에서는 좀더 자유로울수 있다. 하지만 없는 라이브러리는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있기는 하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었으며 11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다.

1부는 플러터를 배우기 위한 준비 과정입니다.

● 1장: 플러터가 무엇이며 모바일 개발자가 플러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플러터의 기초를 살펴봅니다.

● 2장: 다트 언어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을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다트를 이미 알고 있거나 새로운 언어 사용에 거부감이 없는 독자라면 이 장은 생략해도 좋습니다.

● 3장: 플러터 내부 동작 원리를 배우고 기본적인 플러터 코드를 구현합니다. 플러터 앱 구현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환경 설정 방법을 익힙니다.


2부는 플러터의 UI를 설명합니다.

● 4장: 플러터 앱에서 사용하는 기본 기능과 위젯을 설명합니다.

● 5장: 폼과 제스처를 설명합니다. 앱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방법도 배웁니다.

● 6장: 앱을 아름답게 꾸미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캔버스에 위젯과 버튼을 그리는 방법과 플러터 애니메이션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3부는 상태 관리와 비동기 작업을 설명합니다.

● 7장: 한 라우트에서 다른 라우트로 상태를 전달하는 방법과 애니메이션을 배웁니다.

● 8장: 다양한 상태 관리 방법 중 블록 패턴을 소개합니다.

● 9장: 비동기 다트 개념인 스트림을 소개하며 이를 플러터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4부는 외부 데이터 처리와 테스트 방법을 설명합니다.

● 10장: HTTP, 파이어베이스, JSON 직렬화로 외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 11장: 플러터의 내장 테스트 프레임워크, 모키토(mockito), 플러터 드라이버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책은 1장부터 11장까지 순서대로 학습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아는 내용이 있더라도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공부하는걸 추천 한다. 플로터에 관한 책들 아직 많지는 않지만 이번에 플로터를 제대로 배울수 있는 책이 나와서 너무 좋다. 이책이 처음 시작할때는 어려울수도 있지만 빠르게 헬로우 월드 수준의 수박 겉핥기보다는 조금 늦도라도 제대로 배우는게 좋을것이라 생각 합니다. 이책으로 플러터에 대해서 제대로 배울수 있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