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마 클럽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 지음, 정창 옮김 / 시공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발음하기도 낯설고 힘든 타이예페르라는 사람의 죽음에서 출발하는 이 책은 전체 구조를 보면 추리소설의 형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을 보면 전혀 그렇게 볼 수 없으니...

수없이 등장하는 수많은 작가와 책의 이름.

그리고 내용과 대사를 줄줄이 꿰고 있는 작가의 서술방식이 큰 벽으로 다가왔다.

이건 작가의 지식 과잉인가? 독자의 지식 부족인가?

작가가 언급하고 있는 책들 중 겨우 삼총사나 몽테크리스토 백작 같은 것만 알고 있고

그 많은 작가들중 고작 서너명 이름만 알고 있다는 것이 나 혼자만의 문제일까?

책을 반절 이상 읽을 때까지도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알 수 없어 혼란을 겪었다.

그것은 과연 내 개인의 문제인가?

 

후반으로 들어서서는 좀 속도감 있게 전개되지만,

(이것은 남부의 여왕에서도 그랬고, 아마도 이 작가의 방식인가보다)

마지막 결말을 보면서까지 모든 것이 알 수 없는 수수께끼로 남아버렸다.

이레네의 정체도 알 수 없었고, 바로 보르하의 광기도 뜬금없었고, 뒤마클럽의 방식도 그렇다.

그리고 가장 알 수 없었던 것은 작가가 무얼 말하고 싶었는지이다.

발칸의 입을 빌어 "게걸스럽게 읽어치우는 독자"에 대해 비아냥을 담고 있는 듯하긴 한데...

또는 문학세계와 현실 세계의 구분에 대한 이야기를 한 듯도 한데...

도저히 갈피가 잡히지 않는다.

 

아무 생각 없이, 무슨 내용인지 신경 쓰지 않고, 그냥 줄거리만 따라간다면 모를까

이 책을 이해해가며 읽는다는 건 어쩌면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만큼 게걸스레 책을 읽어댄 사람이라면 혹시 가능할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