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1980년대만 해도 통제된 국내 지성계를 벗어나 새로운 지식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일본에서 발간한 책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한다. 그래서, 일주일만에 일본어를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일본어 속성 학습 서브노트가 있었고 몇 년전 출간된 것으로 알고 있다.(나도 한 권 구매^^ 매우 얇음)
이제는 우리나라도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다양한 책이 매년 출판되고 있으므로, 그럴 일은 감소했지만, 가까운 일본은 아직도 여전히 출판시장에 있어서는 다소 앞서 있는 느낌이 드는게 사실이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히라가나, 가타가나는 뗐다... 그럼에도 일본어 원서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으나, 최근에 발달한 Ai의 도움으로 이제는 일본어 원서 읽기가 가능해졌음에 놀랐다. (물론...인공지능을 이용한 방법은 내용 이해를 베스트로 해봐야 85% 정도가 아닐까 싶다. 정확한 문맥 이해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번역한 글을 참고하는게 좋을 것이다. 다만, 이 방법은 구해 읽어보고 싶은 책이지만 아직 번역되지 않은 책을 읽을 때를 전제로 하겠다.)

나는 일본의 신문 거물, 미디어 왕인 와타나베 츠네오에 대해서 NHK가 인터뷰한 다큐멘터리를 정리한 <<독점고백, 와타나베 타츠오>>를 읽었다. 알라딘에선 검색이 안된다. 올해 1월에 출간된 책이다. 그럼 어떻게 일본어 원서를 읽을 수 있는지 설명하겠다.
1. N사의 P어플을 이용하는 방법
이 방법은 상당히 편리하다. N사의 파...어플을 사용해서 '이미지'옵션을 누르고 실제 책 위에 카메라를 위치한후 사진찍듯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AI가 스캔하여 실시간으로 번역된 결과물을 바로 보여준다. 놀라운 세상에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다만, 이 어플을 사용하면 아직 번역이 완완벽하진 않은 것 같다.
2. vFlat + DeepL
vFlat이란 어플을 통해 사진을 찍은 후 그걸 '텍스트'로 '변환'하고, 요즘 가장 핫한 Ai 어플인 DeepL 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하면 바로 번역이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1번 방법에 비해서는 시간이 조금 더 지체 되는데, 2가지 어플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번역한 결과물은 1번보다 조금 나은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든다.
그래서, 내 경우는 챕터별로 vFlat을 이용하여 사진을 다 찍어놓고!, 이후 전체 선택하여 일괄 텍스트 변환한 후에, 변환된 파일 하나씩 DeepL에 공유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번거롭지만, 신세경이다!
이렇게 책을 한 권 다 읽었고 첫 경험이 놀랍다. 다만, 아쉬운 것은 vFlat이 하루에 100개만 텍스트 변환해준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Ai를 이용하여 일본어 원서를 읽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물론, 저렇게 읽은 책의 번역 퀄리티는 현재 기준으로 90%에도 못미친다. 제일 많이 틀리는 것이, 사람의 한자 이름(!)과 관용구에 해당하는 단어는 번역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보다 정확한 번역이 필요한 문학보다는 비문학(특히 논픽션)에서는 Ai를 활용해서 충분히 일본어 원서, 더 나아가 외국책 원서를 수월하게 읽는 세상이 도래했음을 실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