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해방일지
.
.
어떤 영재어린이가 TV에서 이렇게 말한 기억이 난다. “살아있는 사람은 평가할 수 없어요. 아직 삶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오직 죽은사람에 대해서만 평가할 수 있죠. “라고...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소설 첫머리에 아버지가 전봇대를 들이받고 사망하며 시작한다. 명예로운 죽음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화자의 부모는 둘 다 빨치산, 남부군으로 해방 후 ‘유물론’을 신봉하는 사회주의자로 지냈는데, 아버지가 먼저 죽은 것이다. 작중화자인 나는 태어날때부터 ”빨치산의 딸“이라는 신분이었다. 그 신분은 연좌제가 넓게 작동하던 시절의 자유주의 대한민국에서 저 낮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아버지는 어떤 삶을 살았던 걸까? 장례를 치르면서 딸은 아버지의 끝나버린 삶에 대해 평가할 수 있었다. 문상오는 다양한 사람들을 맞이하고, 회상하며 딸이 몰랐던 아버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 살면서 느끼던 아버지에 대한 기쁨, 슬픔, 분노, 회한, 미련, 그리움 등을 장례 과정 속에 돌아본다.


작가가 쓰지 않을 수 없는 소설. 목구멍에서 치고올라와 눈물로 끝나는 이야기들. 한국현대사의 그늘을 지나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짠하면서도 유쾌하게 여기 담겨 있다.

아버지가 평생 당하고만 살지는 않았다. 당하지 않려고 사회주의에 발을 디뎠고, 선택한 싸움에서 쓸쓸하게 패배했을 뿐이다. 아버지는 십대 후반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여든둘 된 노동절 새벽,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평생어졌다. 사회가 개인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이렇게까지 가혹하게 묻는 게 옳은지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중략...)
다만 당하기로 따지자면 내가 더 당했다. 아버지는 선택이라도 했지, 나는 무엇도 선택하지 않았다. 나는 빨갱이가 되기로 선택하지 않았고, 빨갱이의 딸로 태어나겠다 선택하지도 않았다. 태어나보니 가난한 빨갱이의 딸이었을 뿐이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