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빈치 코드 - 전2권 세트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작품성이나, 구성이나, 표현에 대한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일단, 작품의 흡입력만으로도 <다빈치 코드>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생각한다. 정말 하루만에 전부를 읽어내려갔을 정도로 이 책의 인력은 대단한 수준이었다.

누군가 썼던 '헐리우드 적'이라는 표현이 아주 적절할만큼, 이 책은 댜양한 재밋거리와 서스팬스, 음모와 수수께끼, 그리고 매력적인 캐릭터가  잘 버무려져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먹음직스럽게 잘 배치한 작가의 이야기 능력이 놀라울 따름이다. 실제 영화 제작 작업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읽는 동안도 "그럴 수도 있겠거니"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나름 잘 형상화만 시킨다면, 좋은 시나리오, 좋은 작품이 될 것이다. 문학의 자존심을 한껏 살펴주는 그런 사례가 되지 않을까.

정말 단순히 재밌거리로만 넘기기에 아까운 다양한 이야기 거리들이 풍성한 소설이었다. 다양한 암호분석과 기호해석, 다양한 예술작품 그리고 기독교 사상에 대한 작가의 해설은 여러가지 생각거리를 남겨주었다. 실제 미국에서는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고 들었다. 하늘같이 밑던 종교가 갑자기 내 옆에 다가올때의 느껴지는 당혹감. 아마도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크리스챤인 본인의 경우, 실제 이 책에 서술되어 있는 이야기를 전에 다른 경로를 통해 어설프게 접한 바 있었다. 막상 이런 방식으로 접하게 되니 놀람을 금할 수 없었지만, 어쨌거나 내가 가진 신앙에 대해 조금더 깊이 알게되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다양한 정보와 앎은 어쨌건, 악보다는 선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찾아가며 책을 읽기는 처음이다. 오푸스데이와 시온수도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과 종교적인 용어들을 계속 찾아가면서 책을 읽었다. 갑자기 머리가 팽글팽글 돌아가는 느낌이었다. 음모는 사람을 흥분되게 한다. 그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과 떨어질 수 없는 문제라면 더욱더 그러하다. 확인할 수 없는 종교와 정신에 대한 문제는 물론, 그 배가 된다. 음모가 아니어도 음모처럼 느껴지는 것이 어쩌면 종교가 아닌가.

그런 점에서 <다빈치 코드>는 사람을 상당히 흥분시키는 소설임에 틀림없다. 나는 읽는 동안 계속 흥분에 떨었고, 다 읽고나서도 역시 그 여진에 떨고 있었다.

귀신들과 피가 난무하는 납량특집 영화나 그런 류의 소설보다는, 훨씬 여름 밤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게 하는 소설이다. 같이 하는 동안 즐거웠다. 멋진 이야기꾼을 만나는 것은 그래서 좋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aco 2004-07-13 0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 추천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