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실살인게임 - 왕수비차잡기 밀실살인게임 1
우타노 쇼고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표지가 비틀즈를 연상시켜서 관심이 갔다.

 

밀실살인게임 - 우타노쇼고

 

 

 

뒷면을 보니

 

 

 

 "순전히 지적 만족과 재미를 위한 전대미문의 살인이 시작된다!" 이 문구가 적혀있었다. 나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우타노 쇼고의 소설은 처음이었다. aXe, 두광인, 044APD, 잔갸 군, 반도젠 교수. 이들은 아주 특별한 온라인 모임을 가진다. 살인을 저지른 후 그와 관련된 문제를 맞추는 모임. 범인이 누구인지를 밝히는 것이 아닌 미싱링크, 살인이 가능했던 이유, 트릭 등을 맞춘다. 범인은 알아낼 필요가 없다. 출제자가 범인이니까.

 

 이런 설정, 이런 소재의 어두운 추리소설(추리라기 보다는 범죄자들의 온라인 모임 기록이라고 해야할까?)은 처음이었다. 나보다 먼저 책장을 넘긴 엄마께서 약 50페이지까지 읽으시고는 처음 보는 소재에 음침한 느낌이 싫다고 하셨다. 내가 느낀 책의 분위기는 어둡기는 하지만 <셜록홈즈> 시리즈에서 볼 수 있는 일지 형식 그릇에 '온라인'이라는 소스를 첨가하고 '트릭을 위한 살인'이라는 메인 재료를 요리한 느낌?

 

 옮긴이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다'는 말을 책 커버에 적었기 때문에 반전을 예상하고 책을 읽어나갔다. 마지막을 향하며 내가 '혹시 반전이 이 내용일까?' 했던 것이 맞아떨어졌을 때 뭔가 뿌듯했다. 결말을 읽으면서는 '응?'하는 생각이 들었다. 흐지부지한 결말이라서가 아니다. 책 전체를 관통하는 '트릭을 위한 범죄'라는 요소가 결말에서도 나타난다. 단지 끝맺음을 완전히 내리지 않고 'to be continued'라고 끝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 반드시 매력적으로 느낄 거라는 확신을 가졌던걸까? 나도 끌려서 빨리 2권을 읽고 싶기 때문에 확신이 있었다면 동의한다.

 

 <밀실살인게임>을 읽으며 옮긴이에 처음으로 관심이 갔다. 옮긴이 소개에 "공부가 지나친 나머지 번역가의 길로 빠져들게 되었다", "한 달 평균 20권의 일본 소설 원서를 읽고 쉬임 없이 리뷰하는" 이 두 줄에서 끌렸다. 책 마지막에 그의 글에서 독자에게 스포를 하지 않으면서 번역하기 위해 고민했다는 것에 더 끌렸다. 이 사람이 번역한 책들도 찾아서 읽어보고 싶다.

 

 

 

 

 표지를 보며 왜 5명이 등장하는 데 그림은 4명일까 생각했다. 내가 생각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첫째, 4명은 가면 등으로 가렸지만 1명은 초점을 흐리게 잡을 뿐 다른 특징이 없다. 둘째, 그 1명에 대해서는 끝날 때가 되어서야 정보를 알 수 있다. (다른 인물도 거의 그렇지만 유독 044APD에 대해서는 언급이 적다) 회색 페이지를 챕터의 기준이라고 했을 때 챕터가 지나면서 한 인물씩 앞으로 나오지만 044APD는 표지 그림과 마찬가지로 끝까지 나오지 않는다.

 

 <밀실살인게임 2.0>도 이미 내 책장에 있다. 그래도 한 템포 쉬고 읽어야겠다. 앉은 자리에서 300페이지를 거뜬히 읽게 하는 마성의 매력에서 잠시 벗어나서 가볍게 읽고 돌아오려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