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다 - 문화집시 페페의 감성에세이
곽효정 지음 / 미래를소유한사람들(MSD미디어)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아직 파릇파릇한 십대 때는 ‘과연 내게 올까 싶었던 서른’이었고, 청춘을 불사르던 이십대 때는 ‘아직은 나에겐 먼 서른’이었다. 그리고 정작 내가 서른이 되었을 때, 그것은 ‘실감이 나지 않는 나의 서른’이었다. 지금 내 나이 서른하고도 둘. 과연 나는 이 책의 제목처럼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나? 난 새삼 나의 서른이란 나이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무얼 해도 행복한 줄 몰랐고, 무얼 해도 사랑할 줄 몰랐던 나는 방향을 바꾸고 태도를 바꾸자 행복하지 않을 때에도 행복할 수 있고, 사랑이 떠난 후에도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 <서른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다> 중에서 - 

   

내가 서른을 산 지금, 다시 이십대로 돌아간다면 나는 그 순간순간을 더 잘 즐길 것 같다. 하지만 그 때는 그럴 수 없었다. 그 순간순간들이 나에겐 처음 겪는 현재요, 그로 인한 알 수 없는 미래를 동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냥 행복할 수만은 없었다. 때론 절망하기도 했고, 때론 깊이 상처받기도 했고, 또 때론 처절하게 슬픔에 빠지기도 했다. 그리고 무얼 해도 사랑할 줄 몰랐던 때도 있었다. 사랑을, 그리고 사람을 믿지 못했던 때도 있었고. 서른. 저자의 말처럼 서른이라는 터널을 지나고 나니, 나의 아픔과 상처마저도 행복이었음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비로소 인생의 달콤함을 깨달았다고 해야 하겠지.

 

 

“딸. 넌 적어도 사람의 영혼을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이 되어야 해.”

그날 이후로 나는 사람을 쉽게 미워할 수 없었다. 영혼이 흐릿해지는 것은 곧 죽음에 가까워지는 일이므로 사람을 미워하는 일은 살인만큼이나 무서운 것이었다. ‘미움의 싹’이 타인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을, 너무 빨리 가르쳐준 아빠가 미웠다. 마음 놓고 미워할 수 없게 하는 아빠가 미웠다. 하지만 어린 나는 생각했다. 아빠는 천사니까 미워해도 되겠지.

- <서른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다> 중에서 -

아빠, 나는 지원 따위 바라지 않아요.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은 마음으로 내가 자라나길 바랐던 그 모습이면 충분해요. 네가 가는 길을 믿는단다. 계속해서 그 길을 향해 가거라. 이렇게 말해주는 것만으로도 힘이 난다고요. 그것은 어떤 경제적 지원보다 더 크고 값진 것이니까요.

- <서른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다> 중에서 -

“할아버지, 나는 왜 눈물이 많아요?”

“그건 네가 태어난 날, 하늘에서 가장 큰 마음을 선물해서 그렇단다.”

“가장 큰 마음이 뭔데요?”

“살다보면, 비겁해질 때도 있고, 이게 아닌데 싶을 때가 있는데 사람들은 애써 그 마음을 모른 척 한단다. 그러면서 조금씩 마음을 칠하지. 탁한 색으로 칠하기도 하고, 밝은 색으로 칠하기도 하지. 넌 그렇게 마음을 칠하면서 조금씩 아팠을 거야. 그래서 세상 모든 일에 감동하고 눈물을 흘리는 거지. 눈물을 흘리는 사람은 강하단다.”

“왜요? 잘 우는 사람은 약해 보여요.”

"그렇지 않단다. 눈물은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두고 봐라. 넌 그 눈물로 무언가를 이뤄낼 거야. 울었던 시간만큼 넌 움직일 테고, 움직임은 점점 커져서 운동력을 가질 거야.“

- <서른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다> 중에서 -

  

서른을 넘기며 얻게 된 부모라는 자리. 이제는 인생과 세상에 대한 질문이 아닌 답을 해야 하는 자리인데, 아직은 나도 답보다 질문이 더 많기만 하다. 그런데 저자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참 멋진 답을 알려주고 있었다. 가장 인상에 남았던 것은 미움과 눈물에 관한 것이었다. 살다보면 미워지는 이가 있기 마련인데, 저자의 아버지는 무작정 미워하지 말라고 하지 않았다. 영혼을 소중히 하는 사람이 되라며 저자가 스스로 느끼고 깨닫게 하셨다. 미움이라는 것이 얼마나 나쁜 것인지를.

 

나 역시 눈물이 많은지라 저자의 할아버지의 말 역시 가슴에 와 닿았다. 눈물이 많은 이는 하늘에서 가장 큰 마음을 선물 받았기 때문이라는 것. 울지 말라는 말보다 할아버지의 그 말은 저자의 마음을 강하게 만들어주었고, 더는 눈물을 많이 흘리지 않았다. 나도 그럴 수 있을까? 저자의 할아버지의 말처럼 눈물을 흘리는 사람은 정말 강한 걸까? 나도 나의 아이들에게 이런 멋진 말로 머리가 아닌 가슴을 울려 변화되게 만들어주고 싶다. 아직은 답보다 질문이 더 많은 나이지만, 아이들이 나에게 질문을 할 때쯤이 되었을 때는 나도 저자의 아버지나 할아버지처럼 멋진 말을 들려주는 멋진 부모가 되길 간절히 바라본다.

 

 

선생님은 저마다의 체형이 다르고 발전하는 정도가 달라서 함께 배우더라도 좀 더 빨리 진도를 나가는 사람도 있고 아주 더디게 배우는 사람도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걸 견디지 못해서 중도에 포기한다고 하셨다. 모든 일에는 자기만의 속도가 있기 마련인데, 남과 비교하면 그걸 찾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꾸준히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그날의 수업을 끝내셨다.

- <서른 비로소 인생이 달콤해졌다> 중에서 -

  

어렸을 때는 천재가 참 부러웠다. 조금만 노력해도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는 천재가. 하지만 서른을 넘긴 지금은 성실한 사람이 참 부럽다. 서른을 넘기고 보니 인생의 승리자는 대부분 성실한 이들의 몫이었다. 아무리 뛰어난 천재라 하더라도 노력하지 않으면 그 천재성을 발휘하지 못한다. 하지만 성실한 사람은 꾸준한 노력으로 결국에는 성공에 이르는 것을 많이 보게 된다.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만들어 진다’는 에디슨의 말이 사실임을 서른을 넘긴 지금에야 가슴 깊이 받아들이게 되었다.

 

 

서른. 서른을 넘기면 인생이 달콤해지냐고 누가 묻는다면, 서른을 넘기면 인생이 달콤해지진 않지만 인생의 달콤함을 알게 된다고 말해주고 싶다.

 

 

 

- 연필과 지우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