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탄생 -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전인권 지음 / 푸른숲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제목부터 특이했던 책. 요즘 인기 있는 <남자의 자격>이란 TV 프로처럼 남자들만이 갖는 특별한 무언가가 쓰여 있는 듯 했다. 세상에 태어난 뒤 여자도 남자도 탄생의 과정을 거치지만, 여자의 탄생 과정을 알고 있는 나로서는 남자의 탄생 과정이 조금 궁금했다. 내가 남자의 탄생을 알게 된다면 그동안 이해하지 못했던 남자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도 싶었다.

 

이 책은 기대 이상이었다.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이 책은 한 남자의 이야기를 솔직하고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그리고 그 남자는 한국 사회에서의 남자를 대변하고 있었다. 이는 내가 사회 초년생일 때 만났던 중년의 남자들을 이해하는 데 조금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내 아버지도. 그들이 왜 ‘동굴 속 황제’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으니까.

 

신기했던 건 이 책의 저자였다. 어떻게 자기 자신을 이렇게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을까. 분명 자기 자신의 이야기 임에도 소설 속 주인공의 이야기를 하듯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비판도 비난도 없었다. 그저 자신을 자신이 자라온 환경을 분석했을 뿐이었다.

 

과거 한국이라는 환경에서 태어난 남자들은 권위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자신만의 ‘동굴 속 황제’로 자라났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에서 태어난 남자들은 어떤 모습으로 자라났을까. 앞으로 한국을 만들어갈 남자를 난 어떻게 키워야 할까. 시대는 변했고, 세대는 바뀌었지만, 여전히 나는 그 속에 들어 있다. 난 과거 한국 사회 속에서 자란 부모님 밑에서 자라났고, 현재 한국 사회의 남자와 생활하고 있다. 그리고 언젠간 한국 사회로 나갈 남자를 길러낼 것이다. 난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말한다. 그 해결법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우리 세대도 서로 잘못하고 있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인데, 내가 우리 아래 세대를 키워내면서 커뮤니케이션을 잘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먼저 앞선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윗 세대보다 더 넓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장을 갖고 있기에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는 이렇게 스스로 깨우치며 앞으로 나아가는 세대니까 말이다.

 

여담으로 여자의 탄생을 말하자면, 여자의 탄생은 ‘온실 속 화초’였다고 말하고 싶다. 세 살 나보다 많은 오빠는 어릴 때 학교 가기 전부터 학원이라는 학원은 전부 다녔고, 유치원까지도 다녔다. 하지만 내가 간 건 초등학교 때 미술학원에 간 게 전부였다. 그것도 몇 달 다니다 그만 두어야 했다. 나의 재능을 크게 본 미술학원 선생님이 더 큰 학원에 보내자고 하자, 우리 집안 형편으로는 끝까지 미술 공부를 밀어 줄 수 없다는 게 그 이유였다. 그건 표면적인 이유였을 뿐이고,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다. 여자는 나중에 잘 커서 시집만 잘 가면 된다는 것이었다. 화가는 배고픈 직업이라는 건 부수적인 이유였을 뿐이었다. 하지만 요즘은 우리 부모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이렇게 세상이 변할 줄 알았으면 그때 그냥 미술을 시킬 걸 그랬다고.

 

우리 부모님은 환경의 변화를 보면서 스스로 깨우치고 계시고, 우리 역시 변화에 맞춰 스스로 깨우치고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다음 세대에서는 더 멋진 남자의 탄생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자의 탄생도.

 

 

 

- 연필과 지우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