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 계단 - 나를 흔들어 키운 불편한 지식들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몸마음 힐러 무아쌤 입니다 : )


12월 5일 저녁, 채사장님의 '열한 계단' 관련 강연을 열흘 앞두고 
앞으로 매일 조금씩 열한계단을 읽으며 내용을 곱씹어 보려고 합니다.
강연에서 인상깊은 질문을 하기 위해(훗-_-) 책을 읽을 생각을 한 것도 있지만 
지난 밤, 저자의 말 부분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머릿속에 든 생각은
'이 책 좀 위험한것 같은데...?'
였습니다.




'위험한 책'이라는 것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1년 전 오쇼 책 이후로 증폭되던 진동이 저의 내면에 어떠한 균열을 만들었고
그 이후로 이런 부류의 위험한 책들을 일부러 찾기 시작했습니다.
어찌되었든 앞으로 열흘동안 이 책을 곱씹는 시간 또한 제 스스로에게 
여러모로 큰 의미가 될 것 같다는 직감입니다.

그럼 part 1. 을 시작하겠습니다.



"

출항과 동시에 사나운 폭풍에 밀려다니다가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같은 자리를 빙빙 표류했다고 해서,
그 선원을 긴 항해를 마친 사람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는 긴 항해를 한 것이 아니라
그저 오랜 시간을 수면 위에 떠 있었을 뿐이다.

"


"

그렇기에 노년의 무성한 백발과 깊은 주름을 보고
그가 오랜 인생을 살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 백발의 노인은 오랜 인생을 산 것이 아니라 

다만 오래 생존한 것일지 모른다.
"
참으로 오랜만에 책의 첫 장 
그러니까 저자의 말을 보고 눈물이 핑 돌았다.
이 감정은 뭘까.
아, 최근 이와 비슷한 감정을 기억해냈다.

이제는 고인이 되어버린 스티브 잡스가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연설에서 겨우 버티고있던 나를 조금씩 흔들어 깨우던
그리고 연설의 마지막에
"Stay Hungry, Stay Foolish!"
라고 말하는 부분을 나는 잊지 못한다.
곧이어 걷잡을수 없는 감정에 엉엉 목놓아 울었던 그 날을.


동굴에서 막 나와 자유의 몸이 되었음에도 내가 직면한 '진짜세계'는
내 예상보다 더욱 고통스러웠다.
나는 하루에도 몇번씩 (나 또한 포함되어 있음에도) 모든 인류의 그 위에 우뚝 서서
그들을 가엾게 그리고 안타깝게 바라보다가도
언제 어디에서 사라져도 모를것처럼 보잘것 없는 존재인 것만 같아 공허했다.
그래, 그건 공허함 이었다.
나는 앞으로 살아간다면 '농락당하거나' 혹은 '농락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하지만 나는 이제껏 농락당한쪽이었고 그 사실을 알아버렸다.
내가 살았던 인생, 나, 그리고 나의 가족들, 나의 친구들,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두 나와 함께 농락당해왔고 그 사실이 참으로 애통했다.

하지만 그건 내가 진짜라고 생각하는 세계의 진짜일 뿐이다.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의 세계는 그것과 다르다.
그들이 생각하는 진짜 세계와는 다르다는 말이다.
'어떻게 이럴수 있지?'
'하지만 그렇다한들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단 말인가?'
'그들에게 알려야해.'
'아니, 그런게 무슨 소용이지?'
'진실을 알고 살아야 하니까.'
'이런 고통을 그들과 함께 한다고 달라질게 있을까?'
'그들이 진짜세계를 모르고 사는 걸 원해?'
'어디부터 어떻게 설명해야 하지? 이 카오스를 어떻게 감당해야할까?'
'그건 그들의 몫이다. 내가 도와줄 수 있는게 있을까?'
'난 고통을 전하는 사람일수만은 없다. 그럴거라면 알리지 않는게 나아' 
'고통이 있더라도 진실을 아는게 중요해'
'...내가 일단 먼저 가보겠어. 그리고 알리든 안내하는 자가 되든 할거야.'

그 이후 나는 어느순간부터 말이 없어진다.
어느순간 조금씩 더 고요해진다.
그렇게 기쁘지도 그렇게 슬프지도 않다.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 만나고 헤어지고 사람들은 '꽃길만 걷자'고 말한다.
삶은 여전히 苦 이다. 
미련도 후회도 없다.
나는 내면 깊이 무언가를 간직하기 시작한다.
그때 쯤 이었을것이다.
분위기가 차분해졌다는 말을 듣기 시작한 건.
소용돌이치듯 미쳐 돌아가는 주변속에서 고요한 토네이도의 눈과도 같이.
그게 1년 전 이다.



저자의 말에서 나오는 나의 성장을 위해 나를 깨뜨리는 그 외부의 힘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깨달음은 늘 고통을 수반하는 법이다.
나는 이제 겨우 한 계단을 오른 것 뿐이라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계단을 계속 오르느냐 그대로 자리를 잡느냐는 건 내게 달렸다.
그리고 나는 결국 그 다음 계단을 오르기로 한다.
무엇때문에?
글쎄... 그건 나도 모르겠다.
나의 삶이 얼마나 더 지속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한번 깨진 이상,
여기에서 멈춰 평생 관찰자의 입장으로 살 수만은 없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나는 그래서 그 끝을 알수 없는 수행의 길을 떠나기로 한다.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안내하는 자가 되기 위해 
우선 내가 그 고통을 짊어지고 가보기로 한다. 
그러다가 '무아無我' 라는 호를 내게 선물한다.

그렇게 나는 지금의 몸마음 힐러 '무아'가 되었다.


출항과 동시에 사나운 폭풍에 밀려다니다가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같은 자리를 빙빙 표류했다고 해서,
그 선원을 긴 항해를 마친 사람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는 긴 항해를 한 것이 아니라
그저 오랜 시간을 수면 위에 떠 있었을 뿐이다.

그렇기에 노년의 무성한 백발과 깊은 주름을 보고
그가 오랜 인생을 살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 백발의 노인은 오랜 인생을 산 것이 아니라

다만 오래 생존한 것일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