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턴의 아틀리에 - 과학과 예술, 두 시선의 다양한 관계 맺기
김상욱.유지원 지음 / 민음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상욱 교수의 이름이 많이 들리는 가운데 '타이포그래퍼'라는 다소 낯선 직업을 대중에게 알린 유지원 교수와 공동 작업을 했다 하여 관심이 간 책.


'과학과 예술, 두 시선의 다양한 관계 맺기'라는 부제도 참신하게 느껴졌다. 그래픽디자이너가 저자여서 책의 편집도 나름의 독특함이 있다. 예를 들면 인쇄면의 상단 여백을 좁게 두었다던지 두 작가가 번갈쓴 각 장의 폰트를 다르게 썼다거나.


특별한 점을 찾자면 여럿이겠으나 무엇보다 강한 이 책의 소구점은 예술가와 과학자가 함께 썼다는 대목이다. 상이한 분야의 두 전문가가 같은 키워드를 두고 어떤 교집합과 차별점을 보여줄 것인가가 기대됐다. 유지원 교수는 "어느 시대에든 인간 활동의 모든 측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왔"다며 "'예술과 과학과의 만남'이니 '융합'이니 하는 구호들이 새삼스럽다"고 썼다. 독자로서 이 책에 대한 나의 기대는 너무 '올드'한 것이었나 보다. 그렇지만 과학을 감동적인 예술로 설명하거나 예술을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풀어 서술한 책을 많이 접해보지 못한 독자로서는 "과학과 예술, 두 시선의 다양한 관계 맺기"라는 부제에 끌릴 수 밖에 없었다. 그것도 글 잘쓴다는 소문을 들은 저자들의 책이라면 더욱더.


경향신문 연재를 모아 낸 책은 각 저자가 하나의 키워드를 가지로 떠오르는 생각 또는 상념을 풀어냈다. 전문가들의 상념이니 일상을 벗어난 지식들이 점점이 박혀 있어 흐린 반딧불처럼 반짝이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평이한 서술들이었다. 애초에 "하나의 주제에 대해 과학자는 예술적으로, 예술가는 과학자적으로 써보자"는 의도는 과학자가 예술을 소재로 물리를 설명하고 예술가는 키워드와 관련된 과학 지식을 (약간) 활용하는 정도로 표현됐다.


예술에는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가치도 있지만, 순수형식주의적이고 작가적인 가치라는 것이 있다. 세상을 보는 확장적인 방식을 제시하면서, 그것을 생생하게 체함하게 해 준다. 인식의 구속과 오류로부터 자유를 탐색하고, 왜곡되었을지 모를 구태의연한 시선에 대해 보다 나은 방식을 제안하려는 질문을 던진다. 이런 질문들은 개인의 자립감과 자존감을 높이고, 결국 공공체를 각성하게 하며 치유하는 사회적인 효과를 가진다. 인간이 세상과 더 잘 지내고자 하는 도정인 것이다.

pp.182-183, '가치'를 키워드로 한 유지원의 글


키워드 또한 특정한 맥락없이 파편적이다. 목차는 키워드를 몇 개씩 묶어 "관계맺고 연결된다는 것", 현상을 관찰하고 사색하는 마음", "인간과 공동체의 탐색"으로 분류했놓았다. 그러나 각 분류에 들어가는 키워드들이 모여 상위 제목에 걸맞는 내용을 말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세부 키워드와 소제목의 연결성이 부족하다.


두 저자가 책 한 권 내내 각자의 생각을 펼쳤다면 책 말미쯤 한 번쯤은 대담이라도 했으면 어땠을까 싶다. '장애'라는 하나의 주제를 다뤘다는 면에서 유사한 예로 보기 어려울 수 있지만 김초엽 작가와 김원영 변호사의 공동 저서 『사이보그가 되다』의 경우를 참고할 만하다. 김초엽, 김원영의 경우에도 연재한 글을 모아 책을 냈다. 두 저자가 번갈아가며 한 장 안에 서너 개의 꼭지를 담았다. 어떻게 보면 '장애'라는 주제에 대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이 나열돼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마지막에 두 저자가 만나 책 전반을 정리하는 대담을 싣고 있다. 공동 집필하며 아쉬웠던 점, 더 다뤄야할 부분 그럼에도 이 작업이 의미있는 이유 등을 읽고 나니 각 저자가 앞에서 따로따로 했던 서술이 정리되는 느낌이었다. 『뉴턴의 아틀리에』를 마무리하는 저자 당 7줄의 에필로그로 400여쪽을 갈무리하기엔 아쉬움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