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 제자들 그리고 나치 - 아렌트, 뢰비트, 요나스, 마르쿠제가 바라본 하이데거
리처드 월린 지음, 서영화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은 내게 읽어도 이해하기 힘들고 조금 아는 것 같다가 금새 헤매게 되는 분야다. 어려운 문장을 붙잡고 있을 때면 '대체 내가 왜 이 책을……'하며 끙끙댄다. 책에 담긴 내용을 소화하지 못해 머리를 쥐어 뜯다가 해제 또는 옮긴이의 해설을 볼 때서야 '아, 내가 읽은 내용이 이런 거였어'하며 자괴감에 빠지기 일쑤다. 그럼에도 또 언제 그랬냐 싶게 철학을 다룬 책에 끌리곤 한다. 무슨 조화 속인지.

『하이데거, 제자들 그리고 나치』는 조금 만만해 보였다. 책 소개를 읽어보니 하이데거의 유대인 제자들인 아렌트, 뢰비스, 요나스, 마르쿠제와 하이데거의 사제관계에 집중한 책처럼 보였다. 하이데거가 나치에 동조한 일에 대해 또 제자 아렌트와의 관계에 대해, 그 전후 사정이 알고 싶기도 했다. 뢰비스와 요나스는 들어본 적 없는 이름이지만 나머지 두 명의 이름은 들어 봤으니 어려운 철학을 다루더라도 읽을(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순진한 생각이었다. 책은 하이데거와 그의 유대인 제자들의 '관계'에 집중한 것이 아니었다. 그들의 '관계'를 통해 하이데거 사상의 방향성을 명료히 하는 것이 책의 목표였다. 


저자 리처드 월린은 하이데거의 나치 참여가 우발적이거나 불가피했던 것이 아니라 그가 가진 '독일적 전통'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하이데거는 '독일에서 번성한 보수주의 이데올로기의 계승자'이며 반유대적, 반근대적 사상가다. 이에 반해 하이데거 사상의 근원을 배제한 채 그의 텍스트를 독해한 북미권에서는 그를 "'인간'과 '이성'에 대한 비판자"로 여기고 그 안에 담긴 '정치적 함축'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전에 하이데거에 대해 읽었던 글들은 저자의 우려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었다. 하이데거는 나치에 부역했지만 주변의 압력에 의한 것이었으며 그 기간이 매우 짧았고 나치의 본질에 대해 알게 되자 곧 관계를 단절했다는 내용이었다. 옮긴이는 해설에서 국내 하이데거 연구가 '내재적 접근을 선호한다'고 적고 있다. 이는 북미의 연구 전통을 따른 독해의 연장이라 할 수 있다. 월린의 책은 하이데거 연구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일독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월린은 하이데거 수용사를 논할 때에도 이러한 외적 평가 척도를 중요하게 제시한다. 월린은 영미권 내에서 하이데거의 수용이 (…) 여전히 내재적 접근을 선호해왔다는 점을 지적한다. 국내 하이데거 연구에 대해서도 아주 다른 평가를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가 제시하는 하이데거나 제자들의 사상에 대한 텍스트 외재적인 분석과 비평은 기존에 내재적 접근 방식이 주를 이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균형 잡힌 시선을 제시하는 미덕을 분명히 갖는다.

pp.435-436


책은 하이데거의 유대인 제자들에서 시작한다. 스승이 반유대주의를 표방하는 나치의 사상적 대표가 된 상황에서 유대인 제자들은 어떤 혼란과 반응을 드러냈는지를 서술한다. 저자가 선택한 대표적인 네 명의 제자는 한나 아렌트, 카를 뢰비트, 한스 요나스, 허버트 마르쿠제다. 저자는 이들을 독일에 동화된 유대인이라고 말한다. 나치의 탄압이 시작되기 전까지 자신들의 유대 정체성의 의미를 깨닫지 못한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나치 이전까지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전통을 지우면 독일 사람들과 같아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회적 지위를 공고히 하는 유대인들을 보는 독일인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고 나치가 정권을 잡으면서 탄압이 시작됐다. 하이데거의 제자들도 갑작스런 스승의 변화에 각자 살 길을 찾아야 했다.


제자들 중 사상에 있어서나 삶에 있어서 스승의 영향에 많이 휘둘린 사람은 한나 아렌트다. 아렌트는 제자인 동시에 연인이었다. 하이데거가 나치에게 돌아섰을 때 아렌트는 스승을 비난했지만 종전후 그와 화해하고 스승의 대변자가 됐다. 월린은 하이데거 사상의 영향을 아렌트의 저작에서 찾아내 그녀의 사상 변천이 하이데거의 자장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밝힌다.


그러나 두 사람이 화해한 이후, 그녀의 어조는 갑작스럽게 바뀌었다. 화해 이후 그녀는 하이데거의 나치 전력의 무게와 크기를 체계적으로 축소했다. (…) 이전의 비판적 묘사의 어떤 흔적도 찾아볼 수 없었다.

pp.142-143


근대 역사의식 연구로 독일에서 잘 알려진 카를 뢰비트,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추구한 생철학자 한스 요나스의 경우도 근대 정신을 비판하고 전제주의에 경도돼 있다는 점에서 스승의 사상과 맥을 같이 한다.


그(요나스)는 플라톤의 '철학자 왕' 교리가 담고 있는 반민주주의 편견에 명백하게 빚을 지고 있다. 이는 1930년대 초 하이데거 역시 미혹되었던 편견이기도 하다. 요나스는 전제정치의 미덕을 공공연하게 찬양한다.

p.263


허버트 마르쿠제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영감을 받아 스승을 찾은 사람이었다. 그는 스승의 실존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결합하고자 했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제자의 방향을 탐탁잖아 했고 나치를 선택하면서 결별에 이르렀다.


하이데거가 자신의 젊은 추종자가 좌파의 정치 신념을 가졌다는 것을 몰랐을 리가 없다. 하이데거는 마르쿠제의 철학적 세계관의 핵심을 형성한 것이 마르크스주의와 실존주의를 종합하는 것임을 알고 있었다. 하이데거의 단호한 반공산주의적 관점에 비추어볼 때, 이를 호의적으로 보았다고 상상하기는 어렵다.

pp.317-318


아렌트는 스승과 화해했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았다. 때문인지 아렌트에 대한 저자의 서술은 다른 제자들의 경우에 비해 신랄해보인다. 뢰비트, 요나스, 마르쿠제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제자들의 사상적 흐름을 소개하고 스승 하이데거와의 관계 서술한 후 그들의 사상에서 보이는 스승과의 연계성을 풀어낸다. 반면 아렌트의 경우는 하이데거와의 관계를 일대기적으로 소개하면서 그 변화에 따른 아렌트 철학의 향방을 서술한다. 한나 아렌트의 모든 사상은 하이데거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마지막까지 짝사랑이 계속된 것처럼 묘사된 것을 볼 때 그녀가 가진 정치철학자로서의 위대함을 어디서 찾아야할지 난감해졌다. 아렌트는 책에 소개된 제자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사람인데 말이다. 특히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 대한 저자의 비판은 '악의 평범성'에 대한 아렌트의 주장을 어떤 맥락으로 바라봐야 할 지 생각하게 했다.

교육자로서 하이데거는 대단한 매력을 지닌 인물이었다. 제자들이 스승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은데는 이런 부분이 일정의 역할을 하지 않았나 싶다. 하는 말마다 '가치있는 어떤 것'이라는 느낌을 주는 스승이라면 그가 말하는 사상의 결점도 눈에 들어오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제자들은 한때 스승을 믿고 따랐고 그의 배신에 경악하면서도 자신들에게 배어든 스승의 그림자를 알아채지 못했던 듯하다.


요나스는, 상당한 정도로, 그 철학자의 매료시키는 능력이 '이해할 수 없는' 담론의 성격에서 기인했다고 언급했다. 말하자면 학생들은 이해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의 말에는 '이해할 만한 가치가 있는 어떤 것'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p.271


하이데거의 반유대주의자로서의 면모는 2014년 『검은 노트』가 출판되면서 확연히 드러났다. 사적인 기록물인 『검은 노트』에 그는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일에 끔찍하게도 가담한 사실"을 적었다. 하이데거를 '수동적 반유대주의자'로 보려는 지지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의 본심'을 부정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월린의 주장이 더 합리적 결론이라 생각한다. 하이데거를 더 이상 '훌륭한 사상가'로 보기는 어려운 일이며 그의 철학은 '문제의 일부'다.


이러한 사실들은 모든 것을 바꿔놓는다. 국가사회주의의 끔찍한 악행을 하찮아 보이게 만드는 하이데거의 불온한 노력, 그것도 우연히 그런 것이 아니라, 실질적 가해자인 독일인들을 역사적 책임에서 면제시켜 주려는 노력은 그의 제거주의적 반유대주의 고백과 결합되어 그를 더 이상 '훌륭한 사상사'로서 볼 수 없게 만든다.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