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봐도 연애소설
이기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생각해도 제목을 참 잘 짓는다. 『최순덕 성령충만기』,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 『김 박사는 누구인가?』,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에 이어 『누가 봐도 연애소설』까지. 소설가 이기호의 책은 제목에서부터 코믹한 뭔가가 내장되어 있을 것같은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누가 봐도 연애소설』이라니, 이렇게 연애소설임을 강조하는 소설은 왠지 연애소설이고 싶은 다른 종류의 이야기일 것같지 않은가 말이다. 그래도 연애소설이고 싶은 책을 연애이야기겠거니 하고 읽는 것이 이기호 작가의 책을 읽어본 독자의 자세라고 하면 과한 것일까.


이기호 작가를 알게 된 건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때문이었다. 웬만해선 아무렇지가 않을 수가 없는 삶이 계속 되던 때가 있었다. 꼭 집어 말하라면 그렇게 하기는 어렵지만 심신이 피폐해지는 그런 시기였다. 작가의 소설 제목을 듣자마자 무슨 얘기로 아무렇지 않음을 말하는지 궁금해졌다. 책의 어떤 부분에서 아무렇지 않을 가능성을 발견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작가의 능청스런 유머에, 정말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태연하게 풀어내지만 비어져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었던 것만 생각난다. 정색하고 쓴 소설의 문장을 쓴 작가의 표정을 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달까.



『누가 봐도 연애소설』은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 『세 살 버릇 여름까지 간다』에 이은 세 번째 짧은 소설을 모은 책이다. 십여 장이 넘는 단편도 아니고 정말 책 서너 장에서 끝나는 이야기들이다. 나는 심오한 단편 읽기에 미숙한 독자지만 이기호 작가의 짧은 소설에는 적응하기 쉬웠다. 작가의 글 재주 때문인지 친근한 소재때문인지는 모르겠다. 책 읽는 속도 보다 하나의 에피소드가 끝난 후 멍하게 생각하는 시간이 더 길었다.


녹색어머니회 활동을 해야하는 아빠, 돈에 집착하는 치매 할아버지, 서로의 건강을 챙기는 별거 부부, 아무데로나 가달라는 손님을 태운 택시 운전기사 등. 이야기의 등장인물의 면면도 이걸 어쩔까 싶다. 매우 특수한 경우를 잡아낸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은 것이 '독박육아'를 담당하는 아빠들이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치매로 인한 집착은 흔한 일이다. 별거하는 부부도 다반사고 술 취한 손님을 태우는 택시도 별난 일은 아니다. 삶을 바라보는 이기호 작가의 시선이 특별하다. 일상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결말을 묘하게 전복시켜 독자의 기대를 벗어난다. 잘 보이고 싶었던 여성에 대한 호감이 강아지에 대한 애정으로 급선회한다던가.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연애와 사랑이다. 독감을 나누고픈 초등생의 사랑도 있고 치매여도 좋은 노년의 사랑, 내놓고 말 못하는 옆집의 짝사랑, 술마시면 생각나는 미련, 오래전에 지나간 사랑도 있다. 각각 한편의 기나긴 소설감이 될 만한 이야기 30개가 모여 있다. 틈 날때 마다 천천히 한 편씩 읽고 싶은 책이다. 읽을 때마다 솟아나는 미소가 있고, 마음을 울리는 연민이 있다. 한 번에 꿀꺽 삼키듯 읽기보다는 한 모금씩 음미하고 싶은 책이다. 그리고 웃음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건네고 싶다.


작가의 전작에서 혼자 낄낄거렸던 것처럼 이번에도 변함없이 혼자 폭소하게 하는 대목이 있었다. 지리한 장마 안에서 소설을 읽으면서 큭큭거리는 기분도 나쁘지 않았다. 근래 누가 이렇게 사람을 웃게 만들어줬나 싶다. 아래는 그 결정적 대목의 일부. 궁금하시면 이기호 작가의 신작 『누가 봐도 연애소설』을 읽어보시길.


"하하하, 이게 참. 제가 이사 가려고 급히 물리치료실을 알아봐야 할 일이 생겼거든요. 하하하."

이 사람아, 그게 말이야, 방귀야…….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